실시간 뉴스
  • 통계로 본 격세지감 안동 60년 …재정500배↑ 인구는급감,위기를 기회로
-권기창 안동시장 “승격 60주년 원년으로 변화와 혁신의 변곡점 만들어야
이미지중앙

19760년대 안동시 모습(안동시 제공)


[
헤럴드경제(안동)=김성권 기자]경북 안동시가 시승격 60주년을 맞아 올해를 원년으로 위기를 기회로, 기회를 현실로 이끌어 미래 100년의 기틀을 마련할 방침이다.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안동시와 안동군은 행정구역이 분리됐다가, 1995년 시·군통합으로 주민들의 생활권과 행정권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당시 시군 세대의 높은 참여율로 87.2%가 통합에 찬성해 안동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옥동과 강남동 택지개발로 도시공간이 확장되, 강변은 수변공원조성과 함께 왕복 6차선 도로가 시원하게 뚫렸다. 경북도청이 이전하고 KTX와 고속도로 준공으로 이동권의 제약이 없어졌다. 종 산단지가 생기며 굵직한 대기업도 둥지를 틀었다.


눈에 띄게 발전한 안동, 500배 이상 늘어난 안동시 역량

승격 직전인 1962년 말 안동군의 예산은 4,672만 원 남짓했으나, 금은 18,900억 원으로 물가 상승(당시 80한가마가 3천원)을 감안해도 5~600배 껑충 뛴 셈이다. 또한, 60년 전 버스 19대와 택시 8, 화물차 71대 등 98대에 불과하던 자동차와 시군 통틀어 1대뿐인 오토바이는 현재 자동차 87,606, 이륜차 9,705대로 늘었다.

도시의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인구감소의 문제는 더 큰 발전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미지중앙

1970년대 안동시가지 모습. (안동시 제공)


전체 인구 급격한 감소, 가구수는 늘어

196311일 승격 당시 242,043이르던 인구는 베이비 붐 영향으로 1974270,188명으로 정점을 찍고부터 급격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수도권, 공업도시 등으로 인구이동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최근에는 출산율 감소까지 심화하며 2022년 말 기준 인구는 154,610명을 기록했다.


이는 승격당시보다 무려 8만7,433명이 줄어든 수치이다. 도청신도시 2단계 사업로 풍천면에 주거 단지가 들어서면 상당수의 인구 유입이 기대되고 있다.


줄어든 인구에 비해 가구 수는 크게 늘어났다. 승격당40,195가구로 가구당 인원은 6.02명에 이르렀다. 현재는 77,759가구로 인구비해 가구 수는 폭발적으로 늘었으나, 가구당 인원은 1.99명으로 1/3 가량 줄었다.

저출산, 고령화 추세 지속

연령대별 인구분포에서도 저출산
, 고령화의 추세가 확연히 드러난다. 승격 당시 9세 이하 인구는 79,978명으로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하고 60세 이상 인구는 14,620명으로 6%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9세 이하 인구가 9,186명으로 전체 인구의 5.9%에 그치반면, 60세 이상은 56,027명으로 36%를 차지해 승격 당시와 상황이 역전됐다.

출생과 사망에서도 당시 출생아수
10,372, 사망자 2,531명으로 순증가7,841명에 이르는 데에 비해 2022년말 기준으로 출생 676명과 사망 1,984명으로 자연감소가 심화되고 있다.
이미지중앙

1990년대 안동도심 모습. (안동시 제공)


초등학교, 학생 수 대폭 줄어

이 같은 저출산 기조는 학교 현장으로도 이어졌다
. 당시 초등학교 수는 본교 56곳과 분교 13개 등 69곳에서 초등교육을 실시했고, 학급수도 673학급에 초등학생 수는 41,163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 수는 33곳으로 줄고, 학생수도 7,969명으로 대폭 줄어들었.


댐 건설로 농경지 줄고, 산업구조 변화로 대지는 늘어

2개의 댐 건설로 방대한 토지(안동댐 56.8k, 임하댐 28.7k)가 수몰되고 3만여 명의 이주민이 발생했다. 또한, 안동시 면적의 15.2%가 넘는 231.192k가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주민의 생활권과 재산권이 해되고 변변한 산업단지, 관광시설의 개발도 가로막히게 됐다.


산업구조가 변화하며 토지이용 현황에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16,516에서 12,4784,038가 줄었고, 10,745에 이르던 답()8,878로 줄었다. 임야 또한 110,277에서 106,055.9줄었으나 대지1,383에서 2,312로 늘었다. 줄어든 경지면적과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당시 93,284명에 이르던 농업종사자는 최근 29,160명으로 줄었다.


시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지방소멸과 도심공동화를 극복하고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역점사업인 안동-예천 행정통합, 안동-대구 광역상수도망 구축, 수자원과 폐철도활용 관광 인프라 구축 등 역점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임하댐의 풍부한 수자원을 활용한 물 산업 육으로 댐의 경제적 가치를 되찾아 시민들에게 돌려줄 것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북도청 이전을 마중물로 안동·예천이 힘을 모아 경북의 신성장거점도시는 물론, 인구 30만의 자족도시로 도약할 토대가 마련됐다라며 시 승격 60주년을 원년으로 미래 100년 안동 발전의 대전환점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이미지중앙

현재의 시가지 모습(안동시 제공)


ks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