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한울 2호기 운영 허가...원전 생태계 복원 탄력
계획보다 5년 늦은 내년 상반기 가동
1호기와 함께 전체 발전량의 4% 차지
신규 원전 건설에도 직·간접적인 영향
신한울 1호기(왼쪽)와 2호기 모습 [한울원자력본부 제공]

신한울 원자력발전 2호기가 당초 계획보다 5년 늦은 내년 상반기께 ‘지각 가동’에 들어간다. 신한울 2호기의 가동은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을 뒤집어 원전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또 윤석열 정부가 공을 들이고 있는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의 참조 모델이라는 점에서 향후 국정과제인 ‘원전 10기 수출’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신한울 2호기는 지난해 4월 시공을 마친 한국형 원전(APR1400)으로 발전용량은 1400MW급이며 설계 수명은 60년이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 7일 전체회의를 열고 신한울 2호기 운영 허가안을 수정 의결한 후속절차로 신한울 2호기에 연료를 장전하고 6개월여에 걸친 시운전 시험에 들어간다고 8일 밝혔다.

시험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원안위로부터 사용전검사를 받고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사업 개시 신고 수리를 거쳐 이르면 내년 4월부터 상업운전이 가능할 전망이다.

신한울 2호기 운영허가로 윤석열정부의 핵심 정책인 원전 생태계 복원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신한울 2호기의 발전량은 국내 연간 발전량의 약 1.81%를 차지할 전망이다. 신한울 2호기는 이미 가동 중인 1호기와 함께 국내 전력공급의 4%(각각 2%씩)를 책임지게 된다. 신한울 2호기의 쌍둥이 원전인 1호기는 지난해 12월 상업 운전을 시작해 안정적으로 가동 중이다. 신한울 3·4호기도 건설을 재개한 상태다. 3·4호기는 앞서 6월에 전원개발 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마쳤다

앞서 한수원은 2014년 12월 신한울 1·2호기에 대한 운영 허가를 신청했지만 안전성 평가·기자재 품질 강화 등의 이유로 신한울 원전 공사는 수년간 늦춰졌다. 2017년 4월 준공 예정이던 신한울 1호기는 지난해 12월에서야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신한울 1·2호기 정상 가동이 약 5년간 지연되면서 공사비 2조 원을 비롯해 추가 전력 비용이 3조 원 넘게 더 소요됐다. 또 건설 지연에 따른 손실은 6조 원가량으로 추정됐다.

신한울 1·2호기 상업운전으로 원전 생태계 복원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올해 상반기 한수원과 협력업체가 체결한 계약금액은 5조4328억원으로 지난 정부 시기인 2021년 상반기보다 3배가량 증가했다.

또 국내 신규원전 건설 계획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윤 정부는 지난 7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절차를 시작하면서 신규 원전 건설에 착수한 상태다. 산업부는 11차 전력계획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포함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신한울 3·4호기를 반영한 2015년 7차 전력계획 이후 9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기는 것이다. 신규 원전 부지는 과거 문 정부 때 신규 건설 계획이 백지화된 경북 영덕 천지 1·2호기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가동되고 있는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이르면 5년 후부터 포화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부산 기장 고리원전은 포화율이 87.6%에 달해 5년 후인 2028년엔 저장시설이 꽉 찬다. 전남 영광 한빛원전도 포화율이 78.7%로, 2030년 가동이 중단될 판이다. 경북 울진 한울원전의 1~6호기 저장시설은 무려 91.4%가 채워져 있다.

그러나 사용후핵연료 영구 저장시설을 짓기 위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은 국회에서 좌초될 위기에 처한 상태다. 오는 10월 국정감사가 열리기 전 한두 달이 입법을 위한 사실상의 ‘골든타임’이지만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로 법안심사 소위원회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서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