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처분소득 역대 최대폭 감소...고금리에 소비여력 축소
눈덩이 가계부채 이자비용 증가
소득 줄었지만 경직성 지출 커져
코로나 손실보전금 효과 사라져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휘발유와 경유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8월과 9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 넘게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연합]

사상 최대 규모를 경신하고 있는 ‘눈덩이’ 가계부채에 고금리로 인한 이자비용이 크게 늘면서 개인·가계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이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해 향후 가계소비에 어두운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처분가능 소득의 감소는 소비 지출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가뜩이나 수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 전반의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28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8% 줄었다. 이는 2009년 3분기 1.3%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2분기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폭 감소다.

가구소득은 2021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0.7% 줄어든 뒤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올해 2분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해 지급된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전금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크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가계의 살림살이는 더 쪼그라든 셈이다.

여기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득은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올해 2분기 가구 실질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9% 줄었다. 역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지면서 기저효과가 컸고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소득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실제 이전소득은 지난해 지급된 코로나19 소상공인 손실 지원금 기저효과 영향으로 19.6% 줄었다. 경조소득·보험금 수령 등 비경상소득도 12.5% 감소했다.

명목·실질소득 모두 줄어든 반면 지출은 더 커졌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5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4.1% 늘었다. 이 중 생활에 필요한 재화·서비스 구입 비용인 소비지출은 269만1000원으로 2.7% 늘었다. 해외여행 증가로 오락·문화 지출도 14.0% 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다.

외식비와 공공요금 물가 상승 등 영향으로 음식·숙박(6.0%), 주거·수도·광열(7.4%) 등의 지출도 증가했다. 이자, 세금, 보험료 등 고정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비소비지출은 96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8.3% 증가했다.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42.4% 늘면서 1분기(42.8%)에 이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자동차 소비 증가로 취·등록세 지출이 늘면서 비경상 조세도 95.0% 늘었다.

이에 따라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3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8% 줄었다.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이처럼 처분가능소득이 줄어들면 가계는 지갑열기를 주저하게 된다. 올해 2분기 소비지출 증가 폭(2.7%)은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작았다. 물가수준을 반영한 2분기 실질 소비지출은 전년동기대비 0.5% 줄면서 2020년 4분기(-2.8%) 이후 10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전년 동기 대비 3.8%포인트 상승한 70.2%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5.1%포인트에 비해 증가폭이 줄었다.

이진석 과장은 “소비지출이 10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긴 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보복심리 성향이 다소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처분 소득도 역대 최대 폭으로 줄면서 전체 (실질) 소비도 줄었다”고 말했다. 이태형 기자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