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윳값 오르는 10월이 ‘밀크플레이션’ 분수령 될까 [푸드360]
서울의 한 마트에 진열된 우유 제품들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김희량·전새날 기자] 약 두 달에 걸쳐 진행됐던 낙농진흥회의 원유(原乳) 가격 협상 결과, 10월부터 각각 음용유(마시는 우유)는 ℓ당 88원, 가공유는 87원 인상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원윳값 인상 금액이 지난해의 약 2배에 이르면서 우유 제조사인 유업계와 소비자 타격도 클 전망이다. 다만 정부가 식품업계는 물론 유통사에도 가격 인상 자제를 주문한 탓에 실제 인상률이 얼마가 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ℓ당 음용유 88원·가공유 87원 인상…“10월부터 적용”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협상 결과에 따라 10월부터 원윳값 가격은 ℓ당 88원(인상률 8.8%)이 오른 1094원이 될 예정이다. 인상 금액과 폭은 지난해 대비 약 2배에 이른다. 지난해는 원윳값이 ℓ당 49원(5.1%) 인상되자 유업계는 흰 우유 가격을 6~10% 올렸다. 이에 따라 현재 1ℓ짜리 한 팩 2800여 원인 소비자가격이 10월에는 3000원이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우유 가격 관련 그래픽 [헤럴드경제DB]
음용유, 낙농가 입장 고려한 듯…가공유 인상은 최소화

이번 인상은 생산비 증가로 경영 부담을 느낀 낙농가의 고충을 받아들이되 대신 가공유 인상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식품업계 전반에 퍼질 수 있는 영향을 줄이려는 결정으로 보인다. 올해 원유기본가격 조정 범위는 1ℓ 기준 음용유 69~104원, 가공유 87~130원였다. 음용유의 인상 폭인 ‘88원’은 가격 조정 범위(생산비 증가액 60~90%)의 중간값이자, 지난해 기준 생산비 상승분(116원/ℓ)의 75%에 해당한다. 대신 가공유 인상 폭은 가격 조정 범위의 최저값인 87원에 결정됐다.

여기에 인상 시점도 당초 8월에 비해 두 달 후인 10월로 연기됐다. 원유는 신선식품이기 때문에 원윳값이 인상되면 빠르면 2~3주 이내 우유 가격이 올라간다. 때문에 유업계는 ‘고민할 시간’을 번 셈이다. 지난해에도 협상 연기로 10월 16일 생산분부터 인상 가격이 적용됐기 때문에 업계의 전반적인 물가 인상 부담 완화와 시차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업계 “소비자 부담 인지, 제조사도 가격인상 부담”

유업계는 이날부터 가격 인상을 본격적으로 논의하지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원윳값이 오르면 빵, 과자, 아이스크림 등의 가격도 같이 오르는 분위기여서 정부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압박하는 상황”이라며 “소비자도 부담을 느끼는데 저희도 가격 올리는 건 부담이라 내심 원윳값이 최소화로 오르길 원했다”고 토로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과 12일 유업계·낙농업계 관계자를 각각 불러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한 바 있다.

서울 시내 한 마트에 진열된 우유 제품들 [연합]

6월 라면값을 시작으로 ‘고강도 물가잡기’에 나선 정부는 원윳값 인상의 여파로 다른 식품 가격까지 오르는 상황을 막아야 하는 난관에 봉착했다. 때문에 제조사뿐 아니라 최근에는 유통사에게까지 가격 인상 자제 압박을 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원윳값이 오르면 오른 만큼 가격을 올려야 하는데 유통사 등 판매처에서는 다른 인상 요인까지 합쳐서 올리는 경향이 있다”며 “그만큼의 인상이 적절한지 들여다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유통사도 압박하는 정부…‘흰 우유 1위’ 서울우유 결정 주목

정부는 전체 식품 원료 중 우유 비중이 작고 수입산 원유 사용 비중이 커 밀크플레이션 영향이 낮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원유 사용률은 ▷흰 우유 77% ▷발효유 8.1 ▷ 탈지분유 3.8% ▷유음료 2.3% 등이었다. 그러나 업계의 사정은 다르다. 원유 가격 인상 시점은 제조사, 유통사들이 가격 인상 시 ‘명분’이 돼 왔기 때문이다.

흰 우유 생산에는 농장에서 공장으로 이동하는 물류비, 보관비, 인건비 등도 영향을 끼쳐 실제로는 원윳값 인상분에 비해 더 큰 폭으로 소비자가격이 인상되는 편이다. 소비자 체감도 클 수밖에 없다. 멸균우유의 가격 경쟁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국산 우유를 마시는 비율이 8배까지 차이가 난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유 소비는 국산 냉장우유·국산 멸균우유·수입산 멸균우유의 비중은 각각 60.9%, 15.1%, 7.4%로 나타난 게 대표적이다.

이에 업체들은 흰 우유 점유율 1위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의 결정을 주목하고 있다. 서울우유는 낙농업인들로 구성된 협동조합인데다 전체 매출 중 흰 우유 비중이 50%가 넘어 흰 우유 매출 비중이 20%대인 매일유업 등 다른 유업체에 비해 고심이 클 수밖에 없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원윳값, 인건비, 물류비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hop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