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팬데믹에 불어난 초과저축, 예금·주식에 1006조원 몰려
코로나 이전 2배 수준…소비·부채상환 안 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 재접근시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우리나라 가계가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면서 현금·예금·주식·펀드에 몰린 자금이 100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부문 초과저축은 101~129조원 수준으로 누증이 계속되고 있으며, 규모는 명목 GDP의 4.7~6.0%(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으로 추산됐다.

팬데믹 이전(2015~2019년) 평균 7.1%이었던 가계저축률은 팬데믹 이후(2020~2022년) 평균 10.7%로 뛰었다.

코로나19 시기 자산 쌓은 가계…금융·IT ‘호황’

보고서는 “미국은 초과저축 일부가 소비재원으로 이용되면서 초과저축 규모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초과저축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초과저축을 소득계층별로 구분해보면 고소득층의 초과저축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팬데믹 이후 견고한 노동시장,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등으로 임시직에 비해 상용직의 정액급여가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 또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린 금융·IT 산업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특별급여가 큰 폭 증가해 고소득층의 초과저축 증가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제공]

초과저축의 증가는 팬데믹 직후 소비감소, 지난해 소득증가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축률 상승 원인을 저축 동기별로 분해해보면 저축률 상승의 대부분이 팬데믹에 따른 소비제약 등 비자발적 요인에 영향을 받았다.

2020~2022년 중 가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4.6%로 2017~2019(3.6%)보다 높게 나타나 가계 물가·금리 부담을 상당부분 완충했다는 평가다. 임금소득은 2020년을 제외할 경우 높은 증가율을 지속했고, 코로나19에 따른 정부지원이 소득감소를 보전하거나 가계소득을 크게 높이는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초과저축의 활용에 대해 보고서는 “가계는 축적된 저축을 소비재원으로 활용하거나 부채 상환 및 자산 취득에 사용할 수 있는데,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추가적인 소비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호조와 정부지원 등으로 소득여건이 양호했던 데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디레버리징 대신 ‘투자 광풍’

부채상환에도 사용되지 않았다. 미국과 유로지역의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이후 낮아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팬데믹 기간 중 높아진 이후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우리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크게 늘어났는데, 이는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부채상환에 활용하기 보다는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국은행 제공]

실제 가계의 금융자산은 현금·예금, 주식·펀드 등을 중심으로 1006조원 늘어나 이전(2017~2019년중 591조원)과 비교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고서는 “이는 우리 가계가 실물 및 금융상황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초과저축이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됨에 따라 ▷실물경제 측면에서 소비 충격시 완충역할을 하는 한편 ▷금융시장 측면에서는 기대 변화 등에 따라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질 경우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