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기준금리 전망, 투자은행마다 천차만별…"내년 인하폭 75~275bp"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하고 있다. 이날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동시에 올해 중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예고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미국 기준금리 경로에 대한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전망이 저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금리를 추가로 올릴 것이라는 데에는 대부분 동의했지만, 내년 금리 인하폭에 대해선 시각차를 드러냈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에 따르면 연준은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 폭을 50bp(1bp=0.01%포인트)로 제시했지만 글로벌 투자은행 대부분은 여전히 연말까지의 금리 인상폭이 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을 중단했으나 향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인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신중한 결정을 위해 금리 인상 속도를 줄이는 차원에서 동결했다면서도 대부분의 회의 참가자들이 추가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보고 있고, 7월 회의도 인상 가능성이 있는 회의라고 언급하는 등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회의 참석자들도 경제전망(SEP)에서 성장·물가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올해 중 기준금리를 50bp 추가 인상(중간값 기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

또 내년에는 기준금리를 100bp 인하해 연말에는 4.75%까지 낮출 것으로 전망했다.

바클레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JP모건, 노무라, 웰스파고, 도이체방크, 토론토도미니언 등 주요 투자은행 10곳 중 9곳은 올해 중 추가 인상을 전망하고 있으며 토론토도미니언 1곳만 인하를 전망하고 있다.

다만 연준과 동일한 50bp 인상을 전망한 투자은행은 바클레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 3개에 그치는 등 대부분의 투자은행은 연준에 비해서는 연말 기준금리 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중 금리 인하폭은 대체로 연준 전망(100bp)보다 클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투자은행별로 75bp부터 275bp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금리 인하폭을 75bp로 전망한 반면, 도이체방크는 275bp로 전망했으며 ▷모건스탠리(100bp) ▷바클레이스(125bp) ▷뱅크오브아메리카(150bp) ▷씨티(150bp) ▷노무라(175bp) ▷웰스파고(250bp) ▷토론토도미니언(250bp) 등 은행별로 의견이 갈렸다.

[제공=한국은행]

이처럼 투자은행 간 전망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인플레이션 둔화 정도에 대한 예상에 따라 올해 하반기 중 기준금리 추가 인상폭 전망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지역은행 파산, 부채한도 협상 타결 후 재무부 일반계정(TGA) 재확충 등에 따른 신용 및 유동성 경색 위험에 대한 평가도 금리 경로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준 입장에 대한 해석 차이도 연내 금리 인상폭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중 2차례 인상을 전망하는 투자은행들은 물가상승률 하락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데이터 의존적인 연준이 7, 9월 연속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나 파월 의장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발언을 연속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한 것으로 해석하는 투자은행들은 대체로 7월 한 차례 금리 인상 후 연말로 갈수록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면서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투자은행간 경기 및 고용 전망 차이는 내년 중 금리 인하폭 전망에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 경제의 연착륙을 예상한 투자은행 2곳은 내년 중 금리 인하폭과 실업률 상승폭을 가장 낮게 예상했다. 경기 침체를 전망하는 투자은행들도 경기 침체 폭과 실업률 상승폭이 내년 금리 인하폭과 대체로 비례했다.

한은 관계자는 "투자은행들의 2024년 말 물가상승률 전망이 2% 초중반으로 유사한 가운데, 경기 및 고용 전망에 차이가 있는 것은 물가상승률 하락의 필요조건인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해소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될 지에 대한 견해 차이에 주로 기인한다"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