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로 ‘경단녀’ 더 늘었다…10명 중 4명, 직장 떠나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지난 3년 간 우리나라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경험 비율은 35.0%에서 42.6%로 뛰었고, 재취업까지 걸리는 기간은 7.8년에서 8.9년으로 늘어났다.

여성가족부는 만 25∼54세 여성 8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경력단절여성법에 따라 3년마다 내는 국가승인통계다.

조사결과, 만 25∼54세 여성 중 한번이라도 경력단절을 겪은 사람은 10명 중 4명(42.6%)꼴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35.0%) 조사 때보다 7.6%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모든 세대에서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은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 보다 경력단절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이후 다시 일자리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도 3년 전 7.8년에서 1년 가량 늘어 8.9년이다. 경력단절을 처음 경험하는 나이는 평균 29.0세(2019년 28.4세)였다.

코로나19 시기에 해당하는 2020년 3월부터 조사시점인 2022년 8∼10월까지 일을 그만둔 여성의 65.6%가 30대였다. 일을 그만둔 당시 53.9%는 대면업무가 많은 서비스 업종에 종사했다.

일터를 떠난 직접적 요인으로는 절반가량이 '긴급한 자녀돌봄 상황에서 대응방안의 부재'(49.8%)를 꼽았다.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집에 머무는 자녀를 돌봐줄 사람이 없었던 것이다.

경력단절 이후 새로 구한 일자리는 전 직장에 비해 임금과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이전 1∼4인 사업체 종사 비율은 20.9%였는데, 경력단절 이후 이 비율은 절반가량(45.7%)으로 뛰었다. 5인 이상 사업체 종사 비중은 모두 감소했다.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의 현황을 보면 사무직·전문가, 상용직, 전일제 일자리는 줄었고, 판매·서비스직, 임시직·자영업자, 시간제 일자리는 늘었다. 주 평균 근로시간도 4.3시간 줄어들었다.

경력단절 후 첫 일자리 월 임금(214만000천원)은 경력단절 이전(253만7000원)의 84.5% 수준이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현재 임금은 경력단절 경험이 없는 여성의 84.2% 수준에 불과했다.

그 만큼 경력단절이 임금 격차를 유발한다는 의미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