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쉽게 생기고 쉽게 죽는다”…가상자산 상장 주식대비 2.4배, 상폐는 4배 [윤호의 크립토뷰]
[로이터]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코인 논란으로 가상자산시장 위험도가 부각되는 가운데, 각 거래소가 개별평가하는 거래지원(상장) 및 거래중단(폐지) 기준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주관하는 국내 주식보다 작년 기준 월등히 많은 종목이 상장·폐지 수순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7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한 곳에만 상장된 ‘단독 상장’ 코인이 389종으로, 김 의원이 투자한 마브렉스처럼 급격한 시세변동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금융위원회의 ‘2022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신고된 27개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356개 종목을 상장 시킨 반면 239개 종목은 폐지시켰다. 유의종목 지정건수는 327건이었다.

반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상장종목은 149개, 상폐종목은 57개, 관리종목 건수는 14건이었다. 가상자산의 상장 및 폐지 종목수가 국내 주식 대비 각각 2.4배, 4.2배 수준이다.

국내 주식 상장종목이 코스피 948개, 코스닥 1637개, 코넥스 128개 등 2700개에 달하는 데 비해 작년 국내 27개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은 1392개(중복제외시 625)개인 것을 감안하면 그 비율은 훨씬 높다. 예컨대 1392개 상장코인 중 4분의 1이 작년 상장(356개)된 셈이다.

국내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 지원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 389종으로, 국내 유통 코인 중 무려 62%에 달하는 것도 문제다. 이중 국내산 ‘김치코인’은 223종으로 추정된다. 김 의원이 투자했던 코인 중 마브렉스는 빗썸에 단독상장됐으며, 강남살인 사건에 연루된 퓨리에버는 코인원에 단독상장됐다가 지난 5일 상폐됐다.

특히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34%(132개)는 시가총액 1억원 이하 소규모로 급격한 가격변동, 유동성 부족 등 시장 위험에 노출돼 있다. 소위 말하는 ‘작전세력’이 활개를 치기도 쉬운 구조다.

이에 따라 원화마켓 5대 거래소가 출범한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 닥사)를 비롯, 각사의 상장 및 폐지 기준이 불투명하고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깜깜이 상장’이라는 비판이 커지자 최근 닥사는 거래지원 심사 과정에서 외부전문가 참여 비중 등이 담긴 상장 가이드라인을 내논 바 있다. 하지만 강제 구속력이 없는 상태에서 구체적인 절차와 규정은 거래소의 자율 영역으로 놔뒀기 때문에, 여전히 일관성 없는 코인 상장을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특히 닥사의 거래지원종료 공통기준 마련은 아직까지 무소식이다. 닥사 측은 “상장폐지 공통기준 초안에 ‘발행주체가 국내 금융시장에 부당한 영향을 끼칠 목적으로 시장을 교란하는 행위를 하거나 명백한 허위 사실 등을 의도적·반복적으로 유포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확정된 발표일정은 없고 조속히 마련해 나갈 방침”이라고만 했다.

특히 원화가 아닌 코인마켓에서는 훨씬 더 많은 가상자산이 쉽게 생기고, 쉽게 사라졌다. 지난해 코인마켓 시장의 상장 종목수는 208개, 상장폐지 종목수는 168개로, 원화마켓(상장 종목수 148개, 상장폐지 종목수 75개)보다 훨씬 많았다.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코인마켓 전체 시가총액의 91%를 차지했으며, 특정 코인마켓 거래소에 단독상장된 가상자산 중 절반(47%) 가량인 94개는 시총이 1억원 이하였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