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금융권 ‘빚 못갚는 기업’ 7년만에 최고...대출부실 수면위로
기업대출 코로나 이후 82% 급증
고금리 등 연체율 상승세 불가피
4대 금융지주 대손충당금 2.4배↑

금융기관이 팬데믹 기간 늘려온 기업·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제2금융권의 기업 연체율은 약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 은행의 전체(기업+가계) 연체율도 2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권은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리며 건전성 관리에 나섰지만 경기가 계속 둔화하고 대출 상환 연장·이자 유예 등 코로나19 금융 지원이 끝나면 부실 대출이 폭탄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업대출, 코로나 이후 48% 늘어...2금융권 83% 급증=1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금융권(은행+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잔액은 총 1874조원(은행 1221조6000억원+비은행 652조4000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4분기(1263조5000억원)에 비해 48.3% 늘어난 금액이다. 특히 ‘제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은 해당 기간 357조2000억원에서 652조4000억원으로 82.6% 불어났다. 업권별로 보면 상호금융의 대출 잔액이 349조원으로 가장 많고, 보험이 142조6000억원, 여전사가 90조2000억원, 저축은행이 70조5000억원으로 뒤를 잇고 있다. 은행권의 기업대출은 같은 기간 906조3000억원에서 1221조6000억원으로 34.8% 증가했다. 은행 기업대출 차주(대출자) 수도 3년 전(230만명)보다 52.2% 급증해 역대 가장 많은 350만명까지 늘어났다.

▶2금융권 연체율, 6년 9개월 만 최고=특히 저축은행, 상호금융, 보험사, 여신전문금융사(카드, 캐피털)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전분기(1.81%)보다 0.43%포인트 올랐고,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업권별 연체율은 상호금융 3.30%, 저축은행 2.83%, 여전사 1.01%, 보험 0.15%로 집계됐다. 상호금융은 2020년 1분기(3.19%) 이후 처음으로 연체율이 3%를 넘어섰고, 여전사 연체율도 2019년 3분기(1.16%)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은행권 연체율도 코로나 직후 수준까지 올라=은행권의 연체율도 코로나19 사태 직후 수준까지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36%로 한 달 새 0.05%포인트 오르며 2020년 8월(0.38%)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39%, 가계대출 연체율은 0.32%로 한 달 전보다 각각 0.05%포인트, 0.04%포인트씩 높아졌다. 한은 자료에서도 지난해 4분기 국내은행 기업대출 연체율은 0.27%로 3분기보다 0.04%포인트 올랐고, 가계대출 연체율은 0.24%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대출은 2021년 3분기(0.30%) 이후, 가계대출은 2020년 2분기(0.25%) 이후 최고 수준의 연체율이다.

▶연체율 추세적 상승 불가피...충당금 늘리는 금융권=높은 금리와 경기 둔화 등으로 연체율의 추세적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금융권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늘리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국내 기준금리가 당분간 인하되지 않을 전망인 데다 국내 대출이 주로 변동금리 조건으로 이뤄진 만큼 작년 금리 급등에 따른 상환 부담 증가는 올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출 부실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4대(KB·신한·하나·우리) 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을 지난해 1분기(7199억원)의 2.4 배인 1조7338억원 추가로 쌓았다.

방동권 신한금융지주 CRO(리스크 관리 최고책임자)는 지난달 27일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최근 연체 증가 추세 등을 고려할 때 올해 대손비용률을 애초 계획보다 높은 약 40bp(1bp=0.01%포인트) 전후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현경 기자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