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리·주택·신용점수, 청년 부담 늘리는 ‘3대 악재’
청년층 5명 중 4명이 주거 관련 대출 보유
기준금리 7배 오르면서 부채상황 부담 급증
부채 상위 50%, 무부채 대비 소득감소폭 11배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최근 가파른 금리 상승으로 코로나19 위기 기간 동안 대출을 급격히 늘렸던 청년층(20~39세)의 부채상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은 소비를 크게 줄였고, 특히 신용점수마저 낮은 이들은 감소폭이 더 컸다.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금리 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저금리 시기에 청년층은 중장년층에 비해 전월세 보증금 등 주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부채가 빠르게 증가했다.

청년층의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82.4~85.0%인 반면, 중장년층의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63.6~73.1%로 나타났다.

청년층은 독립된 가구를 형성하며 주택을 구매하거나 임차하기 위한 대출 수요가 높다. 주택구입여력이 부족한 청년층의 전월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비율은 2022년 말 기준 약 30.0%로 중장년층(5.6%)에 비해 24.4%포인트 높다.

금리 하락은 통상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데, 코로나19 위기 시 기준금리가 낮은 수준으로 하락함에 따라 2020년 하반기부터 전세가격이 빠르게 상승했다.

이에 따라 주택보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임차 비중이 높은 청년층의 부채는 전월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을 중심으로 급증했다.

2021년에는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2018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던 청년층의 주담대 증가율(4.7%)도 중장년층(2.3%)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청년층의 부채가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2020년 초까지 하락세를 보이던 DSR이 빠르게 상승하는 등 중장년층에 비해 부채상환 부담이 늘었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은 “취약차주 보호 정책이 지속됨에 따라 2021년까지 연체율은 대체로 하락했으나, 최근 청년층을 위주로 연체율이 상승하며 증대된 부채상환 부담이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021년 8월 0.5%였던 기준금리가 상승해 현재 3.5%까지 오르면서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른 대출보유 차주의 연간 소비는 약 13만2000원(0.5%) 감소했다.

청년층 내에서는 부채 상위 50%에 속하는 경우, 부채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금리인상에 따른 소비 감소폭이 약 11배에 달하는 등 부채수준에 따라 감소폭에 큰 격차를 보였다.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라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6만4000원(1.1%) 감소한 반면,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청년의 연간 소비 감소폭은 2만4000원(0.1%)에 그쳤다.

김 연구위원은 “부채를 보유하고 있으면 금리 상승에 대응해 부채규모를 줄이려는 유인에 더해 원리금 상환부담도 증가하기 때문에 소비를 비교적 큰 폭으로 축소할 유인이 존재한다”며 “부채를 많이 보유할수록 추가적인 차입이 어려울 수 있어 금리인상 충격에 대응할 여력이 부족해 소비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KDI 자료]

부채가 많은 청년층 중에서도 소득수준이 낮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취약차주의 소비가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감소했다.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중 저소득층의 소비 감소폭은 고소득층 소비 감소폭의 약 3배에 달했다.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라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가구 중 저소득층의 연간 소비 감소폭은 약 27만9000원(1.2%)인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 감소폭은 약 9만2000원(0.3%)에 불과했다.

고소득층은 금리인상 충격에도 소득이나 자산 처분을 통한 소비수준 유지가 비교적 용이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중 저신용층(신용점수 700점 이하)은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라 연간 소비가 53만9000원(2.2%) 줄어 감소폭이 컸다.

고금리 대출 상품인 카드론 보유자, 2금융권 신용대출 보유자, 다중채무자에 해당하는 청년들도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라 각각 19만8000원(0.8%), 21만2000원(0.9%), 29만5000원(1.2%) 수준의 소비 감소가 나타나며 취약차주의 소비가 크게 제약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KDI 자료]

김 연구위원은 “생애주기 관점에서 청년층은 향후 소득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재 소득과 함께 미래 소득도 DSR 등의 대출 규제에 반영하고, 청년층 부채의 상당 부분(85% 내외)이 주거 관련 부채인 점을 감안해 주거 관련 비용의 안정이 청년 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해 단기 상환부담을 경감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