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마이클 크레이머 시카고대 교수 “AI 기술 발전으로 단기간 내 생산성 향상 어렵다”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소 위해 이민정책 제안
마이클 크레이머(Michael Kremer) 미국 시카고대 교수[기획재정부 제공]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마이클 크레이머(Michael Kremer) 미국 시카고대 교수는 25일 “Chat-GPT 등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단기간 내 생산성 향상은 어렵다”고 말했다.

크레이머 교수는 한국개발연구원(KDI),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산업연구원, 조세재정연구원과 가진 사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AI 기술 혁신이 생산성 극대화로 이어지려면 기업들의 전반적인 전략 수정 뿐 아니라 향후 발생할 실업자에 대한 재취업 및 교육 강화 등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크레이머 교수는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대해 이민정책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경제활동 인구를 확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 사례로 홍콩과 싱가포르의 ‘외국인 가사도우미 대상 특별비자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이민에 따른 사회적 우려를 최소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및 세수 확대 등 경제적 이득도 거둘 수 있다고 했다.

팬데믹 이후 선진국과 개도국 간 소득 및 디지털 격차의 확대에 대해서는, 정부의 선구매약속(Advance Market Commitments)을 통해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민간이 개발한 기술의 수익성이 낮으면 정부가 구매한다고 미리 약속하는 방식이다.

크레이머 교수는 “한국은 디지털 기술 혁신의 선두 주자이고 비약적인 경제발전 경험을 가진 만큼 선진국과 개도국 간 소득 및 디지털 격차 완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에듀테크, 디지털 농업, 디지털 헬스케어, 전자정부 분야를 언급했다.

또 재정이 취약한 아시아 개도국에게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개발혁신벤처기금(Development Innovation Ventures)과 같은 사회혁신기금 도입을 통해 혁신적인 정책 대안을 발굴하고, 엄격한 평가와 시범사업을 통해 선정된 우수 정책 대안을 확대 시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빈곤퇴치 방법론으로 개발 협력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2019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크레이머 교수는 오는 5월 2일부터 5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2023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참가하기 위해 방한해 '한국 세미나의 날' 행사에서 조동철 KDI 원장과 기조 대담을 가질 예정이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