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무원 실질임금 20년간 지속 하락…일반 행정직, 민간대비 74.6% 수준
"박봉에 꼰대문화까지…200만원 공무원 왜 해요"
9급 공무원, 최저임금에 한참 밑돌아
응시율 4분의1 토막…퇴사율 30% 급증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지난 2020년 입사한 9급 공무원 A씨는 “대학 때 같은 성적에 다른 기업에 들어간 친구들과 저녁 식사를 하다가 연봉 이야기가 나오면 말문이 막힌다”면서 “박봉에 답답한 꼰대문화, 잦은 야근, 과중한 업무부담 때문에 공기업으로의 이직을 준비 중”이라고 털어놨다.

공무원들의 실질임금이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추락해 지난해 최저치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A씨와 같은 MZ세대(MZ세대(밀레니얼+Z세대) 신규 공무원의 경우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해 잇단 퇴사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5일 인사혁신처와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의원이 밝힌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에 따르면 민관대비 공무원임금은 지난 2004년 95.9%로 정점을 찍은 후 해마다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0년 김대중 대통령 당시 ‘공무원보수 현실화 계획’에 따라 공무원들의 처우가 개선된 이후, 약 20년간 지속적으로 하향곡선을 보였다.

지난해에는 82.3%로 역대 최저점을 기록했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6.1% 오른 반면, 공무원 임금인상률은 1.4%에 불과해 이 같이 큰 폭의 하락을 가져왔다.

직종별로 살펴보면 그 차이는 더욱 심각하다.

전체 공무원 120만명 중 경찰·소방과 교원을 뺀 ‘일반직 공무원(55만명)’만 비교할 경우 임금수준은 더욱 떨어져 74.6%에 불과했다.

이는 민간기업(100인 이상)이 ‘100원’의 임금을 받는다고 기준했을 때 일반직 공무원은 ‘74원’을 받는다는 의미다. 70%를 겨우 웃도는 수준이다.

9급 공무원(1~3호봉)의 임금은 실질적으로 최근 6년간 최저임금을 밑돌고 있다. 그 격차는 해마다 더욱 벌어지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내놓은 ‘지방공무원보수업무 등 처리지침’을 분석하면 올해 9급 1호봉 임금은 177만원으로, 최저임금 201만원 보다 무려 23만원이 적다. 연봉으로 계산하면 연간 276만원이나 적게 받는 것이다.

이는 6년 전인 지난 2018년(9급 1호봉 144만원, 최저임금157만원) 12만원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반면 열악한 임금체계로 인해 공무원시험 경쟁률은 10년 전 보다 4분의1 수준으로 대폭 감소했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9급 공채 필기시험 경쟁률은 지난해 ‘29.2대 1’로, 약 10여년 전인 2011년 ‘93대 1’ 보다 무려 69%나 하락했다. 퇴사율 또한 3, 4년 재직자중 30.7%가, 1년 미만 퇴직자도 26.5%에 달해 공직사회가 붕괴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청에 들어온 공무원 B씨는 “200만원 안되는 월급 받아 세금․연금 등 공과금과 월세 내면 70만원 정도 남는다”며 “현재 우리는 결혼·연애·출산 3포 세대가 아니라 내 집과 인간관계 등 7포 세대로 전락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