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밥값도 부담인데 집을 어떻게”…2030 전국 주택 매입 비율 30% 아래로 [부동산360]
한국부동산원 통계, 전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 31%→28.4%
서울 아파트, 41.7%→34.1%로 급감
서울 용산구 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북 일대 아파트와 빌딩 모습.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서영상 기자]지난해 계속되는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 속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영끌매입’ 비중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재작년 집값이 급등할 때 서울 외곽지역들을 중심으로 ‘패닉바잉’에 나섰던 젊은이들이 고금리 속 집값 하락가능성이 높아지자 몸을 사리고 있는 것이다.

11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거래량 28만359건 중 20대와 30대가 매입한 경우는 7만9485건으로 28.4%에 달했다. 이는 2021년 평균 31%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전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은 매입자 연령대별 거래량이 공개된 2019년 28.3%에서 집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2020년 29.2%로 높아졌고, 2021년에는 30%를 돌파했다.

2020년 8월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등 ‘임대차 2법’ 시행 등으로 전셋값이 폭등하고 집값까지 덩달아 급등하면서 불안감이 커진 무주택 2030세대들이 대출을 최대한 받아 앞다퉈 내집마련에 나선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금리가 급등하면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고 집값도 하락 전환하며 2030세대의 주택 매수 비중도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 아파트 2030세대 매입 비중은 2021년 41.7%에서 지난해(1∼11월)는 평균 34.1%로 급감했다.

서울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은 대선이 있던 지난해 3월과 4월 규제완화 등의 기대감으로 각각 40.7%, 42.3%를 기록하며 40%를 웃돌았으나 이후 금리 인상이 가속하며 6월에는 24.8%까지 내려왔다.

이후 지난해 8월부터 정부가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 대출의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을 80%까지 상향하고 대출 한도도 4억원에서 6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젊은층의 주택 매수에 숨통을 틔워주며 9월에는 34.7%로 높아졌지만 금리 부담에 10월(26%)과 11월(29.8%)에 다시 30% 아래로 떨어졌다.

수도권에서 지난해 집값이 급락한 인천지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이 33.4%로 전년(33.2%)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2021년 36.3%에서 지난해 34.4%로 소폭 감소했다.

s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