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거품 형성…“2024년은 돼야 반등 나설 것”[5대 싱크탱크에 듣는다-부동산]
“금리 정점 이후 시장 안정 기대”
서울 아파트 단지.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올해 부동산 시장은 금리인상 기조가 바뀌지 않는 한 반등에 나서기 어려울 전망이다. 연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금리를 인하할 경우 2024년부터 부동산 시장에도 훈풍이 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영민 LG경영연구원 원장은 “고금리 지속, 미분양 주택 증가, 전세가 약세 등으로 올해까지 부동산 가격 하락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경기침체에 대응해 올해 말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개시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선반영한 주식 시장은 반등하더라도 부동산은 올해 연중 부진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은 “최근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민간의 이자부담이 늘어나면서 그동안 고공행진을 보이던 부동산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했다”며 “정부는 규제지역 해제, 대출규제 완화 등을 통해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시도하고 있으나,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는 동안에는 부동산 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 원장은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은 과잉 유동성과 임대차 3법, 보유세 강화 등 수요 억제정책이 야기한 부동산 시장 버블이 금리 인상과 맞물려 꺼지기 시작한 것”이라며 “결국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려면 금리 인상이 잦아들고, 최근 정부의 부동산 거래 활성화 대책이 시장에서 효과를 발휘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 역시 올해 부동산 시장이 계속 얼어붙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 소장은 “부동산 가격은 경기 둔화 및 매수심리 위축, 자금조달여건 악화 등으로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되고, 그에 따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효과도 가시화할 수 있는 2024년에야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책연구기관인 KDI는 금리 외에도 부동산 시장이 침체한 원인의 하나로 시장에서의 만성적인 초과공급을 지적했다. KDI는 최근 한 보고서에서 “국내 주택공급시장은 주기적인 공급물량 급증·급락 현상과 높은 공급 변동성을 보여 왔다”며 “정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건설사의 자기자본부담을 확대하고 주택금융기관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강화하는 한편, 저출산·고령화, 1인가구 증가 등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는 수요 중심의 주택공급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