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핀다 입점했더니…상위 저축은행, 수수료 월평균 1억원 넘게 아꼈다
타 플랫폼 比 저축은행 당 월평균 2548만원 수수료 비용 아껴줘
[핀다제공]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대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 핀다는 지난 한 해 동안 핀다에서 가장 많은 대출을 일으킨 저축은행 상위 5개사의 수수료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대출모집인과 비교했을 때 1개 저축은행 당 월평균 1억1779만원의 수수료를 아꼈다고 밝혔다.

5일 핀다는 “2022년 한 해 동안 낮은 수수료 구조를 통해 중소저축은행의 시장 진출을 돕는 등 금융기관과의 상생경영 실천에 앞장섰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른 대출비교 플랫폼의 수수료와 비교했을 경우에도 핀다가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수취했다고 말했다. 핀다는 "고정 수수료율 구조를 갖춘 타 플랫폼과 핀다 수수료를 비교했을 때, 위 5개 저축은행사의 월평균 수수료는 약 2548만원이나 차이가 났다"며 "업계 최초·유일하게 금리 연동형 수수료 체계를 갖추고 있어 금융회사가 고객에 제공하는 금리를 낮추면 자동적으로 대출모집 수수료가 내려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핀다에 따르면 수수료 체계를 통해 비용을 아낀 금융사들은 우대금리 제공이 가능했다. 핀다와 제휴한 63개 금융회사 중 매월 5곳 이상이 우대금리 이벤트에 참여했으며 우대금리는 월평균 1.69%p(포인트)를 기록했다. 통상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 신용카드의 실적을 충족하거나 자동이체를 설정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 핀다 앱 서비스만 쓰면 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다.

특히 고객 유치가 어려웠던 중소저축은행들의 핀다 앱 서비스를 통한 대출 취급액 규모가 지난 한 해 동안에만 64%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이는 10대 대형 저축은행의 규모 성장세인 41% 보다 높은 수치로, 자본과 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저축은행들이 오로지 상품성만으로 고객에게 선택을 받을 수 있었던 결과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핀다는 수많은 금융사의 다양한 대출상품 중 고객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휴 금융사와의 동반성장을 꾀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수수료 체계를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금융사와 핀다가 고객을 위해서 함께 만들어낼 수 있는 상생경영 시스템을 다각도로 구축하고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