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퇴직금 챙기자” 80년생도 짐싸는 은행...내년 2000여명 ‘탈출’
올 4대 시중銀 1860명 희망퇴직
부지점장급 퇴직금 4억~5억수준
비대면 비중 높아져 역할 고민 ↑

은행권의 희망퇴직 절차가 본격 시작됐다. 내년 초에 또 다시 수천명의 은행원이 짐을 쌀 것으로 보인다. 최대 5억원 수준의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은행원들 사이에선 ‘받을 수 있을 때 나가자’는 정서가 확대되며 희망퇴직에 대한 은행 직원들의 수요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희망퇴직에 지원하는 연령대도 더 어려지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28일부터 노사가 합의한 희망퇴직 대상과 조건 등을 공지하고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희망퇴직 대상은 1967년생(만 55세)부터 1972년생(만 50세)까지다. 최종 퇴직자는 특별퇴직금(근무기간 등에 따라 23∼35개월 치의 월평균 급여), 학기당 350만원(최대 8학기)의 학자금, 최대 3400만원의 재취업 지원금, 본인과 배우자의 건강검진, 퇴직 1년 이후 재고용(계약직) 기회 등 올해 초와 동일한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퇴직 신청은 내년 1월 2일까지다.

앞서 19∼27일 우리은행도 관리자, 책임자, 행원급에서 각 1974년(만 48세), 1977년(만 45세), 1980년(만 42세) 이전 출생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접수를 진행했다. 1967년생의 경우 24개월 치, 나머지는 36개월 치 월평균 임금이 특별퇴직금으로 책정됐다. 이 밖에 자녀 1인당 최대 2800만원의 학자금, 최대 3300만원의 재취업 지원금, 건강검진권, 300만원 상당의 여행상품권 등도 지원된다.

신한·하나은행 역시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달 초 희망퇴직 공고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NH농협은행은 이미 지난달 18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는데, 최종 퇴직자 규모가 약 5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427명보다 70명 이상 많은 규모다.

희망퇴직자 규모는 내년 초 4대 시중은행(KB국민·우리·신한·하나)에서만 2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개 은행의 희망퇴직 현황을 보면 ▷2022년 1860명 ▷2021년 2021명 ▷2020년 1470명 ▷2019년 1555명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2021년 코로나19의 여파로 가장 많은 수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희망퇴직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 은행권에서는 직원들의 희망퇴직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 시중은행의 부지점장급 인력이 희망퇴직하면 특별퇴직금까지 더해 4억∼5억원 정도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기에 비대면 채널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지며 향후 직장 내 역할에 대한 은행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일부 은행에서는 만 40세도 짐을 싸는 등 희망퇴직의 연령대는 점점 더 낮아지는 추세다. 평생 직장에 대한 개념도 사라진데다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예전에는 한 은행에서 꾸준히 근무하는 게 미덕으로 여겨졌다면 그런 문화가 많이 없어졌다”며 “퇴직금 규모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전했다.

홍승희·김광우 기자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