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리 인상 정점 기대감에 채권투심 회복할까
美 물가안정 반영…국고채 금리 잇달아 하향
인플레 잡혀도 역실적장세 가능성 커
“채권 주식 보다 기대수익률 높아”

[헤럴드경제=김상훈 기자] 지난주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낮게 발표되면서 금리 정책 전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채권 투자에 대한 수요가 회복될지 주목된다. 최근 금리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채권가격이 많이 하락했지만, 금리가 하락세로 돌아설 경우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날 대비 0.199%포인트 하락한 3.834%로 나타났다. 10년물은 0.176%포인트 떨어진 3.894%, 30년물은 0.155%포인트 떨어진 3.856%로 최종 고시됐다. 채권 금리가 하락했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미국 물가 상승이 정점을 찍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의 긴축정책도 속도조절에 들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1일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 9월(8.2%) 발표치 및 시장 전망치(7.9%)보다 낮은 7.7% 올랐다고 발표했다.

물가 정점이 확인되며 연준의 피벗(통화 정책 방향 선회) 가능성까지 점쳐진 상황에서 채권 투심은 점차 회복될 전망된다. 실제 국내 채권시장에서 개인 투자자의 경우 금리가 높은 채권에 대한 수요는 지속돼왔다. 금융투자협회의 ‘10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는 회사채·국채·특수채·여전채·은행채 등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면서 지난달에만 2조503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채권에 직접투자가 아닌 간접투자하는 방식인 채권형 펀드와 채권형 ETF(상장지수펀드)도 최근 들어 자금 유입 흐름이 두드러진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채권형 펀드는 지난 3일부터 5거래일 연속 자금이 순유출됐으나 10일 순유입세로 전환했다. 채권형 ETF 역시 이달 들어 순자산이 지난달 말 대비 3000억원가량 늘었다.

내년 기업실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점도 현 시점에서 채권 투자 비중 확대 의견에 힘을 싣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CPI 서프라이즈, 통화정책 안도감으로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선 역금융장세(통화정책에 일희일비하는 장세)가 종료됐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다음 국면은 역실적장세(기업 실적 부진에 따른 증시 하락)를 준비해야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더라도 내년 상반기까지 기업 실적 불확실성이 커 주식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채권도 매크로(거시경제) 상황이 변수이지만 주식보다는 기대 수익률 측면에서 우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awar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