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활용 페트가 거기서 거기?...플라스틱 사용량을 더 줄여야죠
물리적·화학적 재활용 방식으로 구분
페트 플레이크 녹인후 다시 페트로
여러번 재활용 가능한 화학방식 선호
관련 생산시설 거의 없어 투자 필요
SK와 손잡고 CR-PET 적용 시제품
‘제주삼다수 RE:Born’ 업계 첫 출시

제주삼다수를 운영하는 제주개발공사가 요즘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바로 친환경 활동, 그 중에서도 플라스틱 소재인 페트(PET)의 재활용이다. 고운봉 제주개발공사 상임이사는 “물을 용기에 담아 파는 먹는샘물 산업의 특성상 플라스틱 소재인 페트(PET)를 많이 쓸 수 밖에 없다”며 “병을 경량화 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보니 사용한 페트를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재활용 페트는 다 같은 것일까. 사람들의 인식처럼 사용했던 페트를 재활용하는 건 과연 위생적으로 문제가 없을까. 고 이사는 이 모든 질문에 단호히 ‘아니다’고 답했다.

그는 “폐페트병을 재활용하는 방식은 크게 물리적 재활용과 화학적 재활용 등이 있는데, 모두 위생상 아무 문제가 없다”며 “그간 재활용 페트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은 위생 때문이 아니라 국내에 관련 규정이 없었던데다 수거 및 시설 투자 문제 등으로 지연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 이사의 말처럼 일명 ‘보틀 투 보틀(Bottle to Bottle)’ 재활용은 수거된 페트를 세척 후 잘게 부셔 플레이크 형태로 만든 후 페트병을 만드는 ‘물리적 재활용’ 방식과 페트 플레이크를 녹여 완전히 다른 분자구조로 만든 후 그 물질을 원료로 다시 페트병을 생산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식 등이 대표적이다. 둘 다 병을 세척해 바로 사용하는 게 아니라 플레이크 형태로 부순 후 페트병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상 문제는 없다.

특히 화학적 재활용은 1~2번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재활용과 달리 여러 번 재활용이 가능해 효율도 높다. 다만 국내에는 관련 생산 시설이 거의 없어 플랜트 건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수반돼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 폐플라스틱으로 생필품을 생산하는 일명 ‘도시 유전’ 사업이 각광을 받고 있는 만큼 화학 대기업들이 관련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고 이사도 “화학적 재활용으로 만든 페트병이 대량생산 되려면 2024년은 돼야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주삼다수도 폐페트 재활용에 관심이 큰 만큼 이미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를 적용한 시제품 ‘제주삼다수 RE:Born’을 지난해 10월 생수업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제주개발공사는 이를 위해 올해 1월 SK케미칼과 손잡고 CR-PET를 적용한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SK케미칼의 ‘스카이펫(SKYPET)-CR’을 활용한 제주삼다수 RE:Born은 환경부 및 미국 식품의약품(FDA)의 수질 및 용기 용출 기준을 충족했다.

고 이사는 “스카이펫-CR의 대량 공급 체계가 갖춰지는 대로 제주삼다수 RE:Born의 상품화에 나설 예정”이라며 “제주삼다수 RE:Born 판매가 본격화되면 플라스틱 사용량을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소연 기자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