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득 낮을수록 코로나19에 더 취약” 얼마나 직장 잃었나 봤더니
123rf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코로나19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고용에 상대적으로 더 큰 충격을 안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소득별 실직자 중 코로나19로 직장을 잃은 계층은 저소득층이 가장 비율이 높았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발표한 ‘코로나19가 취약계층 직장 유지율에 미친 영향’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첫해(2020년) 저소득층의 직장 유지율은 약 8.4%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유지율은 현재 일자리(직장)를 가지고 있는 근로자가 다음 연도에도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비율을 의미한다. 중소득층의 하락폭은 저소득층보다 낮은 약 3.2%포인트였고, 고소득층의 경우 직장 유지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2020년 소득 하위층에서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4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중위층의 경우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직장감소율의 감소를 실직자 대비 비율로 환산한 결과다.

아울러 코로나19는 여성과 청년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청년층과 여성의 직장 유지율은 각각 4.3%포인트, 3.5%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코로나19에 따른 남성의 직장 유지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파악되지 않았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 유지율이 약 8.4%포인트 하락했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직장 유지율도 약 8.8%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이나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도 2020년 실직자 10명 가운데 3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 및 음식점 사례에서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실직자 10명 가운데 5.5명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고용 위기가 닥치면 가장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직접 일자리 대응이지만 이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고 연속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근로의욕을 저하시키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보다는 고용 경직성 완화,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민간부문에서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제고해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며 “현금 지급과 같은 사회적 안전망은 취약계층을 선별적으로 지원하고 노동시장으로의 복귀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과 연계하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