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년내 1.2조 해양바이오시장 창출…해수부 ‘미래 신성장육성 전략’ 발표
R&D투자, 1000억원 수준 확대
조승환 장관 “국가 성장동력될것”

정부가 2027년까지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 1조2000억원 달성, 해양바이오를 통한 고용 1만3000명 창출을 목표로 하는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을 세웠다.

해양수산부는 28일 해양바이오 산업을 미래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을 이날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확정·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해양바이오 핵심기술 개발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 3대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해양바이오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해수부는 해양생명자원 4000여 종에 대해 항암·항균 등 유용소재를 확보하고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해 기업에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기로 했다. 동시에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유전체 분석도 확대해 2027년까지 산업적 가치가 높은 해양생물 500여 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핵심기술 연구개발(R&D) 투자를 현재 630억원 규모에서 2027년까지 10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한다. 또 해양바이오 소재 발굴을 위한 전용조사선 건조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자원확보 규모를 2만3000종으로 늘린다.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선 해양바이오 규제개선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소재개발, 대량생산 및 표준화, 인증·제품화 등 산업 전단계에 걸쳐 규제를 발굴하고 정비한다. 아울러 기업의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해양바이오 전문인력 육성 전담기관 설립을 추진하고, 해양바이오 산업의 체계적 육성과 기업 지원확대 등을 위해 해양생명자원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새롭게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해양신산업을 통한 미래 성장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지난 5월 바다의 날 행사에서 해양바이오 산업 육성을 표명한 바 있다”며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 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해양바이오 산업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하여 식량, 에너지, 산업소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현재 글로벌 해양바이오 시장은 약 7조원 규모이나 2027년에는 1.6배인 11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국가적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R&D 투자 및 관련 인프라를 적극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술수준은 미국의 약 7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