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리 가파른 상승에도 변동금리 선택, 왜?
주담대 하룻새 6.59%→6.61%
코픽스 오르면 변동형 연동불구
당장 마주한 이자 부담 무서워
상대적 이율 낮은 변동형 선택
추후 차주들 원리금 상환부담 ↑

시장금리가 급등하면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도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다. 일부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 상단은 6.6%를 돌파했다. 물가상승과 주요국의 긴축 흐름으로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의 긴축의 보폭을 넓히면, 차주들의 원리금 상환과 이자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 “2010년 이후 없었는데”…7% 주담대 등장 임박=9일 따르면 금융채 5년물은 이달 초 3.6%를 넘겼다. 미국이 3~4일(현지시간) 0.5%포인트(p)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2013년 12월 중순 이후 가장 높게 치솟았다. 미 연준이 금리를 한 번에 0.75%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이 아닌 ‘빅스텝’을 단행하며 시장의 불안을 해소했지만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2018년 이후 최고치까지 오른 상황이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장중 3.146%까지 상승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 역시 상승을 거듭하고 있다. 시중은행 고정형(혼합형) 상품 금리 상단의 경우 우리은행이 9일 기준 6.61%로 나타났다. 영업일 수로 하룻 새 0.02%p가 올랐다. 시중은행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전반적으로 6%대 안팎을 기록 중이다. 하나은행은 이미 고정형 금리가 6%를 넘긴 상황이고, 신한은행과 국민은행 상품 역시 각각 5.96%, 5.78%로 6%에 근접했다.

은행권에 따르면 연 7%대 주담대 금리는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찾아볼 수 없었지만, 금리 상승 속도가 가팔라지면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시나리오가 됐다. 실제로 불과 일주일 전 대비 시중은행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0.035~0.26%p 상승했다. 이러한 까닭에 일각에서는 8%대 주담대 등장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은 5% 초반 수준을 유지 중이다. 이날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4.89~5.079%로 나타났다.

이에 주담대 신규 차주들은 금리인상기에도 고정형 상품보다 변동형 상품을 찾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3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19.5%로 2월(22.1%)보다 2.6%포인트 떨어졌다. 통상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고정형 상품을 선택해 금리 리스크를 줄이는 게 ‘상수’로 여겨지지만 당장의 이자 부담이 향후 맞닥뜨릴 이자 부담을 압도한 것이다.

▶한은,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자부담 어디까지=이자는 더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한은이 물가 압박에 금리를 0.25%p 올린 영향으로 은행권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도 늘어나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4월 1.72%로 2019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달 코픽스가 오르면 변동형 주담대 금리도 또다시 오르게 된다.

이달에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4일(현지시간) 0.5%p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2~3차례 더 빅스텝 가능성을 언급했는데, 이렇게 되면 한은도 속도를 맞춰 금리를 끌어올릴 수 밖에 없다.

가계 이자 부담이 더 빠르게 커질 수 있단 얘기다. 앞서 한은은 작년 9월 기준 가계대출 잔액을 기준으로 기준금리가 각 0.25%p, 0.5%p 인상될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2020년 말과 비교해 각각 3조2000억원, 6조4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한은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계 채무부담 증가 우려는 제한적으로 보고있다. 실제 3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1%p오르면 가계대출이 분기당 24조원 가까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4월 금통위 의사록에서도 한 금통위원이 “기준금리 인상이 실물경제에 미친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좀 더 시간을 두고 평가해야겠지만, 적어도 금융측면에서는 가계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고 가계대출 증가세를 완화하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면서 “금리인상기 가계의 채무부담 이슈가 실제보다 과도하게 인식되는 경향이 없지 않은 만큼 앞으로 이와 관련한 분석결과를 외부에 알려 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박자연 기자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