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투자뉴스 뒤풀이] 마트에서 찾은 주식 PER 원리와 개념

주식투자할 때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게 바로 PER(Price Earning Ratio)입니다. 주식시장엔 정말 다양한 비율(Ratio)이 존재하는데 PER은 그 가운데 단연 압도적으로 중요합니다.

PER이 왜 중요한지는 많이 들으셨을테니 각설하고, 그럼 이 PER이 대체 뭔지, 그래서 어떻게 봐야하는건지 알아보죠.

▶마트에서 두부를 산다고 해볼까요? A두부는 1500원이고 B두부는 2000원입니다. 그럼 2000원짜리 두부가 비싼 걸까요? 1500원짜리 두부는 200g이고 2000원짜리 두부는 500g이라면 1500원짜리 A두부가 더 비싼 것입니다.

마트 가격표를 보면 '100g당 얼마' 혹은 '1개당 얼마' 이렇게 상품 '단위'를 통일시켜놨습니다. 때문에 우리는 한눈에 가격을 쉽게 비교해 '싸다/비싸다'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두부마다 가격이 다르지만 동일한 무게(9g)로 기준을 정해 표기해 놓은 덕분에 싸다/비싸다를 쉽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

PER은 이런 역할을 합니다. 분자에 있는 주가(Price)는 종목마다 다릅니다. 분모를 이익(EPS)으로 통일해 버리면 이제야 서로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분모에 장부상 순자산가치(book value)을 놓으면 PBR이 되고 매출(sales)을 놓으면 PSR이 되는 것이죠.

주식시장에서 이 회사의 상품에 해당하는 것이 '이익'이고 그 가격이 '주가'입니다. 즉, 이 회사 이익 1원이 시장에서 10원으로 거래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단위가 분자분모 모두 '원'(\)이라 좀 헷갈릴 수도 있지만, 기본 개념은 두부라는 상품이 마트에서 일정가격에 거래되는 것과 동일합니다.

다만 주식시장에선 어제나 오늘의 이익보다 내일의 이익이 더 중요하죠, 그래야 주가가 오를테니까요. 그래서 일반적으로 12개월 예상 EPS를 씁니다. 이건 애널리스트마다 추정하기 나름입니다. 애널리스트 보고서에 forward 혹은 fwd PER이라고 표기돼 있는게 바로 이 뜻입니다.

PER 10배라는 것은 이 회사의 이익 1원을 시장에선 10배로, PER 50배라는 것은 50배로 쳐준다는 것입니다. PER이 높을 수록 왜 고평가라고 하는지 이해가 되시는지요.

그렇다면 PER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C회사 PER이 10배고, D회사 PER이 50배라고 하면 C회사가 무조건 싸다고 할 수 있을까요?

▶다시 마트로 돌아가 보죠. 두부가 500g에 2000원, 딸기가 500g에 1만5000원이라고 하면 덮어놓고 딸기가 두부보다 비싸다고 할 수 있나요? 둘 모두 500g으로 단위는 맞췄지만 품목 자체가 다르니 단순 비교하면 안됩니다. PER뿐 아니라 각종 Ratio를 비교할 때 기본은 동일 비교(apple to apple)입니다.

그럼 우리는 마트에서 물건을 고를 때 어떻게 싸다/비싸다를 판단하나요? 일단 동일 품목끼리, 단위를 맞춰서 비교해야겠죠? 두부들이 평균적으로 100g당 600원에 팔리고 있다면 100g당 400원인 B두부는 많이 싼 두부입니다.

아래 기사에 있는 표현이 바로 이 뜻입니다.

[삼성SDI는 저평가 매력이 주목받고 있다. 김광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현 주가는 내년 실적 기준 PER의 20배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는 업종 내 가장 저평가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2022년 3월 30일 기사)]

동일 비교는 정말 중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네이버 주식창을 통해 각종 지표들을 보실텐데요, 현대차 PER은 약 7.7배 수준입니다. 동일업종 PER과 엇비슷하네요. 그런데 업종 구성종목을 보면 쌍용차, 에디슨EV, KR모터스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글로벌 완성차 톱 5안에 드는 현대차와 비교를 하기엔 무리입니다. 때문에 GM이나 도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와 밸류에이션 비교를 하는 것이 옳습니다.

▶자,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비교는 동일 업종 내 경쟁사와도 하지만 현재의 나와 과거의 내가 하기도 합니다.

B두부가 평균가격보다 싸서 고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100g당 400원인 이 두부가 어제까지만 해도 100g당 200원짜리였습니다. 하루 사이에 2배가 오른 것이죠. 특별히 이유도 없어 보입니다. 갑자기 비싸보이지 않나요?

그때 A두부 판촉사원이 소리 높여 외칩니다. "오늘만 이 가격, 파격세일 50%!" 그렇다면 A두부는 원래 가격보다 바로 오늘 훨씬 싸다는 이야기네요. 그동안 비싸서 엄두가 안나던 A두부에 한번쯤은 눈길이 갈 것이고 그 중에는 A두부를 사는 소비자도 있을 것입니다.

아래 기사가 바로 그런 예입니다.

["건설주도 역사적 저점 수준으로 주가가 크게 하락, 저가 매력이 커진 상태다. 분양가상한제 이후 대부분 건설주는 20% 이상 급락해 PER 6.0배, PBR 0.8배로 역사적 저평가 수준에 머물러 있다." (2019년 9월 26일 기사)]

때문에 각종 Ratio를 이해하시려면 꼭 '시계열'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보면 과거 밸류에이션 시계열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첨부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밸류에이션이 과거에 비해 싼지/비싼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DB금융투자]

▶이제 마지막입니다.

아무리 같은 업종, 같은 비즈니스 구조를 가진 상장사라고 하더라도 밸류에이션은 시장에서 꾸준히 다르게 평가 받아왔을 수 있습니다.

A두부를 보니 '국산 유기농 콩에 천연심해수로 두부 명인이 일일이 맷돌로 갈아 전통방식 만든 어쩌고저쩌고' 아무튼 좋은 말은 다 써놨습니다. B두부는 그냥 유전자조작 수입산 콩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A두부가 B두부보다 비싸게 팔리는 게 납득이 됩니다.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는 정성적인 판단이 밸류에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애널리스트들은 B두부가 A두부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할인'(discount) 적용된다고 표현합니다.

아래 기사가 그런 예입니다. 밸류에이션이 할인된 이유와 앞으로 전망을 담고 있습니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시장이 두산인프라코어를 복합기업으로 접근하면서 일종의 밸류에이션 할인이 적용돼 왔다"며 "분할 후 시장은 두산인프라코어를 순수 건설장비 업체로 보면서 할인 해소가 기대된다"고 말했다(2021년 7월 21일 기사)]

▶PER은 상대가치(relative) 측정 도구입니다. 비교의 대상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죠. 그 비교 대상은 같은 업종, 경쟁자, 과거의 자기자신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상대가치 측정은 기본적으로 시장이 합리적이란 전제를 깔고 갑니다. 특정 시점에, 특정 종목의 주가는 잠시 본질가치에서 멀어졌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시장의 합리성에 따라 제대로된 가치를 찾아갈 것이란 믿음이죠. 즉 지금 이 종목은 일시적으로 싸거나 비쌀 수 있지만, 길게 놓고 보면 오랫동안 인정 받아온 밸류에이션을 찾아가거나(과거의 나와 비교), 나와 비슷한 친구들의 밸류에이션과 비슷해질 것(경쟁자와 비교)이란 기본적인 믿음이 있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PER이 낮아도 완전히 맛이 간 회사라면 겉으로는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어보여도 예전의 밸류에이션을 찾아가기 힘듭니다. 이런 경우를 가치덫(value trap)에 빠졌다고 합니다. PER이 낮아지려면 분모인 주가가 빠지거나 분모인 이익이 늘어나면 됩니다. 그런데 이익이 낮아지는데 주가도 빠져버리면 PER이 아무리 낮아져도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다고 하긴 힘들겠죠.

PER은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업의 가치 측정 수단입니다. 건강검진을 받으면 빼놓지 않는 심박도, 혈압 같은 아주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이죠. 하지만 혈압이 정상이라고 그 사람을 건강하다고 결론 지을 순 없습니다. 이처럼 PER뿐 아니라 PBR, EV/EBITDA 등 여러가지 다른 지표들도 다각도로 분석해야 진정한 밸류에이션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김우영 기자/CFA

#헤럴드경제에서 증권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2020년엔 CFA 자격증을 취득한 뒤 CFA한국협회 금융지성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해야 하는 기자로서 사명감에 CFA의 전문성을 더해 독자 여러분께 동화처럼 재미있게 금융투자 뉴스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