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상]“왜 그 접시꽃같은 식물원 있잖아”…도심 건축에 스토리를 불어넣다 [건축맛집]
김찬중 더시스템랩 대표 인터뷰
마곡 서울식물원 온실· 삼진제약 연구소 등
독창적이고 고유한 건물 디자인 정평
서울식물원 온실의 천장은 이티에프이(ETFE)라는 특수 소재를 사용해 ‘접시형 식물원’이라는 전례없는 구조를 가능케했다. 커다란 육각형 모양의 반투명 재질로 태양광 유입에도 효과적이다. 이민경 기자.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가운데가 볼록한 돔 형태의 식물원은 흔하다. 반면 중앙이 오목한 접시 형태의 식물원은 비와 눈이 쌓이면 그 하중을 감내해야한다. 이런 구조적 약점 때문에 생각해내기도, 시도하기도 쉽지않지만 적절한 소재와 기술의 도움만 있다면 가능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관례를 깨고 새로움을 시도하겠다는 건축가의 신념이 가장 필요했다.

해가 진 이후의 온실. 왼쪽의 흰색 구조물은 엘리베이터를 감싼 것으로, 사용된 육각형 역시 식물의 세포(Cell)가 모티프다. 이민경 기자.
온실 관람의 클라이막스인 ‘스카이워크’로 향하는 중앙기둥 통로는 마치 식물의 체관을 타고 올라가는듯한 경험을 선사한다. 이민경 기자.

김찬중 건축가가 대표로 있는 더시스템랩이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있는 ‘서울식물원’(온실)(2018년 준공)을 디자인했다. 식물원은 크게 보면 접시의 형태로 가장자리쪽에 긴 열대수종이 배치돼있다. 중앙부에는 키가 작은 지중해 식물을 두었다. 자연스레 관람객의 시선도 식물원 중앙에서 외부로 향하게 되고, 식물원 바깥의 나무와 하늘 풍경과도 어우러진다.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에 개장 이후 서울의 관람 명소로 등극했다.

하지만 이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건축가가 부딪혔던 문제가 있다. 돔 형태라면 비와 눈이 내려도 흘러가버리는데 이건 가운데로 모인다. 안으로 오목한 구조에서 천장이 상당한 물의 하중을 지탱해야하고 동시에 적절한 태양광의 유입도 필수였다.

가장자리에 키가 큰 열대수종을 배치하고 스카이워크를 설치했다. 관람객은 아래에서만 나무를 감상하는데 그치지 않고 위에서 조망할 수도 있다. 이민경 기자.

온실 벽면은 삼각형 유리 3180장으로 이어붙여져있다. 만약 천장을 그렇게 잘게 쪼개면 개방감을 잃을 터였다. 대안은 있었다. 실무를 맡았던 김종길 더시스템랩 수석디자이너는 “이티에프이(ETFE·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라는 신소재가 답이 됐다. 두개의 얇은 필름 구조인데 막 사이에 공기를 넣어 부풀려 놓으면 단열은 물론 외부의 충격이나 눈, 비를 견딜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따뜻한 공기와 접촉한 눈이 녹으면서 가운데로 집수되고, 이를 조경수로 재활용하는 친환경 건축까지도 달성했다.

천장은 덕분에 크고 시원시원한 육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마치 식물의 세포(Cell)를 닮았다.

김 대표는 “왜 식물의 세포는 육각형인가, 그게 가장 안정적인 구조라더라”며 “건축가가 가장 안정적인 구조를 만드는데에 식물의 세포에서 그 인사이트를 받아서 진행한다면 자연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이야기를 인공적인 것까지 끌고 오는것이지 단순하게 직물적인 접근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멋있다’, ‘높다’, ‘크다’, ‘고급스럽다’ 이런 것 외에는 건축물을 두고 다른 류의 감정에 대한 얘기를 하는 걸 못 보지 않나요. 너무 건물이 차가워요. 도시 안에 살면서 사람과 건축물 사이에 상호작용이 너무 없어요. 기왕이면 수십년 이상 한 자리에 쭉 있는 건물에 이야기를 부여하고 싶어요.” 김찬중 더시스템랩 대표.[본인 제공. 무단DB 금지]
건립 당시 서울식물원의 조감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마치 꽃잎을 닮았다. [서울시 제공]

다만 ‘식물원’이라 위에서 내려봤을때 ‘꽃’ 모양을 하도록 만든 것 아니냐는 해석에 대해선 다소 아쉬워했다.

김 대표는 “구조적인 이유로 인해 반듯한 원형이 아니라 꽃잎같은 형상이 됐지만 그리 단순하게 형상을 흉내내는 방식으로 디자인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저희가 디자인한 건물을 가지고 사람들이 ‘뭐처럼 생겼다’, ‘뭐를 닮았다’ 이야기를 많이 나누는 것 자체는 반갑고 기쁘다”고 밝혔다.

서울식물원을 비롯해서 더시스템랩이 작업해온 건축물 중 상당수는 흰색이다. 김 대표는 “사람들은 색 정보에 제일 민감하다. 만약에 건물이 빨간색이라면 ‘꽃잎’(서울식물원), ‘문어 빨판’(KEB하나은행 플레이스원 건물)을 얘기하기도 전에 그저 ‘빨간색 건물’로 정해진다”며 “반면, 흰색으로 된 건물은 사람들이 조형에 좀 더 집중해 보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강서구 마곡동 소재 삼진제약 연구센터 모습. 이 건물은 서향이 메인이다. 서쪽 벽면에 얇은 콘크리트판을 부착해 전반적으로 직사광선을 막되, 위쪽 작은 구멍 두개와 아래쪽으로 뚫린 공간으로 내부에서 바깥을 조망할 수 있다. 이민경 기자.

식물원과 멀지않은 거리에 더시스템랩이 만든 또하나의 흰색이며 특이한 건물이 있다. 삼진제약 연구센터인데 지난해 준공된 따끈따끈한 신축건물이다. 이 건물은 해가 질 때면 서향빛이 강렬하게 들어온다. 김 대표는 “햇빛을 직접적으로 받으면 안되는 약품이 많은 제약회사 특성상 어떻게 하면 직사광선을 막되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갇힌 느낌 없이 도시 전경을 내려다볼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거듭해 나온 건물”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식물원도, 삼진제약 건물도 그렇고 프로젝트마다 성격이 다르다”며 “땅, 예산, 사용자, 건축주 모두가 다르기에 여러가지 변수들의 가장 최적화된 체계가 뭐냐, 그것들을 다 아우를 수 있는 고유의 것을 ‘더 시스템’이라고 하고, 저희는 그 고유의 체계를 연구하는 랩(Lab)”이라고 정체성을 밝혔다. 더시스템랩은 지난 5일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