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이후 GDP 회복 됐지만, 소비는 아직
보험硏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회복 특징 비교’
재정악화보다 물가상승 경계 필요

물가 상승이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의 한 마트 식품 코너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1%로 제시했다. 한은이 당해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대로 내놓은 것은 10년만이다. [연합]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경제 성장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지만, 민간소비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가 묶인 상황에서 물가가 빠르게 오르면서 이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6일 보험연구원의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통계가 확보된 34개국(노르웨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칠레 제외) 가운데 한국을 포함한 20개국은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019년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0년에는 34개국 중 아일랜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2019년의 실질GDP를 100이라고 가정할 때 지난해의 값은 아일랜드가 121.9로 가장 컸고, 에스토니아(106.6), 리투아니아(105.0), 룩셈부르크(104.6), 이스라엘(104.1), 뉴질랜드(103.5), 한국(103.1), 폴란드(102.7) 등의 순이었다.

반면 소비 회복은 더디게 나타났다. 한국은 지난해 실질GDP가 팬데믹 이전을 넘었지만 실질민간소비는 2019년 수준 아래에 머물렀다.

비교 대상 34개국 중 미국, 덴마크, 이스라엘 등 9개국은 GDP와 민간소비 모두 2019년 수준을 벗어났지만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등 12개국은 두 항목 모두 2019년을 밑돌았다.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OECD 주요국은 GDP보다 민간소비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특히 우리나라가 민간소비 증가세에 비해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스웨덴,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 등 9개국은 한국보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더 높으면서도 물가 상승률은 더 낮거나 비슷하게 유지됐다.

민간소비 증가율이 한국보다 낮은데도 물가 상승률이 같거나 더 높은 나라는 독일, 네덜란드, 라트비아 등 5개국에 그쳤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민간소비 회복과 관련한 재정과 물가 여건을 국가 간 비교하는 방법으로 판단할 때 우리나라는 재정 악화보다는 물가 불안을 더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우리 경제가 코로나19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려면 물가를 가능한 한 자극하지 않으면서 경제활동을 최대한 정상화하는 것이 정책목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