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마냥 기쁘지만 않은 1인당 국민소득 3만5000달러…환율과 인구감소 '착시' 크다
서울 종로구 관철동 일대 식당가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성연진·박자연 기자]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년만에 역성장을 극복하며 3만5000달러를 넘겼다. 두 자리수 성장률에도 전문가들은 기저효과와 환율, 인구 감소 등에 따른 거품을 거둬내고 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 올 들어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원화 가치 하락 등 우리 경제를 둘러싼 환경이 변하면서, 소득 성장세가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3만5168달러(4024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4.0%), 2020년(-1.0%)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달러기준 10.3%의 높은 성장을 달성했다.

높은 성장은 기저효과의 덕도 있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이후 경기부양을 위한 저금리 기조에 나서며, 경제성장을 도왔다. 때문에 2020년 처음으로 이탈리아의 1인당 국민소득을 넘어섰던 우리나라는 지난해엔 다시 한 발 물러설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올해 이탈리아의 1인당 국민소득은 3만5880달러로 전망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2021년 신년사에서 “1인당 국민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G7(주요 7개국) 국가를 넘어설 것”이라고 밝힐 정도로 성장률을 자신했지만, 1년만에 뒤집히게 됐다.

환율도 지난해 소득성장을 도왔다. 한은에 따르면 원화 기준 1인당 국민소득 성장률은 7.0%이나, 달러 기준으로 10.3%를 기록했다. 지난해 원화는 3% 가량 절상됐다. 올해 미국 등 주요국가가 긴축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금리가 올라가고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그만큼 하락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1인당 국민소득에는 경제성장과 물가, 환율이 각각 기여했다”면서 “경제성장 1272달러, 물가 상승 762달러, 환율하락이 1061달러만큼 기여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인구 감소에 따른 ‘착시’는 경제 규모를 키우는 데 있어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지난해 실질국민총소득(GNI)는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손실 규모가 확대되면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4%보다 낮은 3.5% 성장률을 기록했다. 1인당 GNI가 고성장을 보였지만, 실제 총 규모 성장세보다 인구수 감소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1인당 경제성장률이 후생이 얼마나 올라가는지를 담기 때문에 중요하다”면서 “인구가 감소하면, 경제규모가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1인당 소득 증가에도 긍정적으로만 볼 순 없다”고 말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인구성장률은 지난해 -0.18%로 첫 역성장을 보인 뒤 올해는 -0.23%로 확대될 예정이다.

체감경기도 여전히 차갑다. 특히 높은 물가 상승은 소득성장에도 구매력 악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국민 경제의 종합적인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GDP디플레이터(명목 국내총생산을 실질 국내총생산으로 나눈 값)는 2020년 1.3%에서 지난해 2.3%로 상승했다.

yjsung@heraldcorp.com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