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만명 시간문제?…‘트리플 악재’ 점점 현실화
코로나 5차 대확산 초비상, 방역·경제 최대고비
사흘째 3만명대, 확진 3만 5286명
산업현장 일손 공백 우려 커져
에너지·곡물가격 상승 큰 부담
오미크론 공포 국내경제 전이
백화점·학원 방역수칙 강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폭증하고 있다. 7일 오전 서울시 중구 서울광장 임시선별검사소 앞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정부는 재택치료 환자를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 환자로 분류해 집중관리군 환자를 중심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하기로 했다. 박해묵 기자

코로나19 확산세에 불이 붙었다. 연초 3000~4000명대를 기록하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이제 그 10배에 달하는 4만명에 육박한다. 전문가들은 이대로라면 ‘하루 확진자 10만명’은 시간문제라고 보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공포는 국내 경제에 전이되고 있다. 자가격리자가 급증하면서 산업 현장에 일손 공백이 발생하고 있고,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물가 급등까지 그야말로 ‘삼중고’에 직면했다. ▶관련기사 3·19·22면

당국에 따르면 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만5286명이다. 누적확진자 수는 전날 100만9688명으로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748일 만에 100만명을 넘어섰으며 이날 104만4963명으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발 ‘5차 대유행’ 피크 규모(10만~20만명)와 시점(2월 말~3월 초)이 더 크고 빨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3월 초 200만명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10만명째 확진자가 나오기까지 429일이 걸렸지만, 90만명이 100만명이 되는 데에는 3일밖에 안 걸렸다.

암울한 전망의 근거는 ‘검사 양성률’이다. 1월 31일 7.8%였던 양성률은 2월 5일 20.8%로 1주일 만에 세 배 가까이 치솟았다. ‘숨은 확진자’가 그만큼 많다는 걸 의미한다. 이 탓에 순간적으로 인구의 10%가 자가격리에 들어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예컨대 10만명 정도의 확진자가 나온다고 가정하면 일주일이면 확진자가 70만명이 되고 70만명이 7일씩 격리한다고 해도 하루 최대 자가격리자가 490만명까지 된다”고 염려했다.

전망이 현실이 돼 전체 인구의 10% 정도가 순간적으로 자가격리 될 수 있는 상황이 오면 물류체계나 사회필수시설 유지가 불가능해진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충격이 장기화할 수 있다. 현장 근로자 일손 부족사태를 우려한 기업들은 임직원의 사내 출입을 막거나 재택·원격근무 연장, 자가검사키트 배부, 회의·교육 중단 등의 대응책을 내놓으면서 코로나19 ‘확산세 차단’에 나섰다.

당국은 이날부터 방역의 고삐를 더 죈다. 백화점, 학원 등 방역패스 제외 시설에 강화된 방역 수칙이 적용된다. 매장 내 취식 금지는 ‘권고’에서 ‘의무’로 바꿨다. 백화점·마트에서 판촉·호객 행위도 금지된다.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에 50대 기저질환자가 포함되고, 역학조사 방식은 대상자가 직접 기재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사적 모임 6인, 영업시간 오후 9시’ 제한은 20일까지 지속된다.

오미크론 대확산 속에 세계 및 우리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국제유가는 곧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 전망이다. 지난 4일(현지시간) 국제 원유가의 기준이 되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92.3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가 오르면 국내 기업 생산단가는 치솟는다. 1월 무역수지는 48억9000만달러 적자로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공급망 차질로 t당 4만2000달러로 올해에만 33.4% 급등한 수산화리튬,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중인 니켈 등 원자재가도 부담이다.

국제곡물가 상승률도 무섭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매달 발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FFPI)는 지난 1월 1월 135.7을 기록해 ‘아랍의 봄’ 사태로 국제 식량 가격이 급등했던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급등한 국제유가와 원자재가, 곡물가 등은 소비자에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 1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3.6% 상승했다. 4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