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로 앉아서 ‘떼돈’ 번 금융사들 ‘성과급 돈벼락’
은행·카드·보험·증권 사상최대 순익
최소 연봉 30%…최대 절반 육박도
정부 인가 통제…시장과점 수혜 커
배당·가격인하 등 주주·고객엔 인색
"이자·보험료 올려 성과급 나눠 먹나" 비판도
금융당국도 불편…"대손충당금 더 쌓아라"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금융사들이 적게는 수 천 만원에서 많게는 억대에 육박하는 ‘성과급 잔치’에 나섰다.

코로나19와 경기 악화로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금융사들이 이자 장사로 '돈놀이'를 한다는 비판이 맞물려 두둑한 성과급에 곱지 않은 시선이 많다. 금융사들은 정부가 신규인가를 제한하고 있어 시장 과점 수혜가 크다. 임직원 보상에는 적극적이면서 주주를 위한 배당과 고객을 위한 가격인하에는 인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요 은행들, '기본급 300%' 수준 성과급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경우 우리은행 노사는 '기본급 200%의 경영성과급 지급' 등에 합의했다. 직원 사기진작 명목으로 기본급 100%와 100만원도 더해졌다. 직원들은 사실상 작년 실적에 대한 성과급으로 기본급의 300% 이상을 받는 셈이다.

KB국민은행의 성과급(P/S)은 월 통상임금(기본급 개념)의 300%로 전년(통상임금 200%+150만원)보다 늘었다.

신한은행 직원들은 경영성과급으로 기본급의 약 300%를 받는다. 특별지급분으로 직원들에게 신한금융의 통합 포인트인 마이신한포인트를 100만 포인트 나눠줬다.

하나은행 역시 특별성과급(P/S)이 기본급의 약 300%로 결정됐다.

은행권은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익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험업계의 경우 업계 1위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각각 연봉의 평균 17%, 36% 성과급을 받았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실적이 회사의 목표치를 초과해 성과급을 지급했다"고 말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표준연봉'의 평균 30%가 넘는 성과급을 지급한 데 이어, 올해는 평균 40% 이상을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역시 양호한 실적을 거둔 DB손해보험은 표준연봉의 33% 가량을 성과급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카드업계의 경우 삼성카드가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보다 더 많은 성과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은행계 카드사인 신한카드와 국민카드, 우리카드 등도 성과급 규모를 밝히고 있지 않지만, 은행 수준에 처지지 않는 선에서 지급됐거나 지급될 가능성이 있다.

증권업계의 경우 일부 증권사는 실적 연동으로 연봉의 50%를 넘게 받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성과급으로 1억원을 받았다는 30대 증권사 직원의 경험담이 인터넷에 올라와 화제가 됐듯이, 개인 투자자 주식 거래 증가, 역대급 기업공개(IPO) 시장 등에 따른 증권업계 실적 개선이 직원들의 거액 성과급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증권사 실적 개선에 따른 성과급 증대로 직원들의 평균 연봉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대형 증권사 중 처음으로 평균 연봉이 2억원을 넘긴 메리츠증권은 작년에는 3분기 기준으로 이미 평균 연봉이 1억7000만원을 넘어섰다.

한 보험사 임원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사고가 대폭 줄면서 보험사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해 성과급 또한 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으로 지급했다"면서 "은행 등 다른 금융 업종들도 코로나19 속에 호황을 누려 비슷한 상황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자 장사로 성과급 잔치" 비판도

지난해 시중은행들이 사상 최대 수준의 경영 실적을 거두면서 은행 직원들에 성과급 규모를 크게 늘린 것과 관련해 논란이 적지 않다.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급증한 가계대출 때문에 이자 이익이 급증한 것을 경영 성과로 평가할 수 있는지와 그 이익을 성과급 형식으로 직원들끼리만 나눠 갖는 게 바람직한지에 대한 이견 때문이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로 투자)' 등 투자 수요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 등이 겹쳐 가계대출이 많이 늘어난데다, 금리까지 오르면서 지난해 시중은행의 이자 수익은 전년보다 10% 이상 늘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수익이 많이 나서 그에 맞춰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이며 은행의 사회적 기능을 고려해 다양한 사회 공헌도 추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보험업계도 두둑한 성과급에 뒤따를 역풍을 우려하고 있다.

보험사가 손해율과 저금리를 이유로 실손의료보험료를 대폭 인상하고 보장성 보험료도 지난 2년간 계속 올리면서 성과급 잔치를 한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금융소비자연맹은 "손해는 보험료를 올려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이익은 임직원이 나눠 갖는 것은 이율배반적 소비자 배신행위"라면서 "보험료 인상을 멈추고 이윤을 소비자와 공유하는 조처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역대급 실적과 성과급 잔치에 흑자를 낸 자동차 보험료를 내리라는 요구도 있다. 금융당국은 손해보험업계에 자동차 보험료 인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성과급 지급 공개를 극도로 꺼리는 카드사들은 지난해 막대한 수익이 올해 자동차업계, 마트 등 대형 가맹점과의 카드 수수료 협상에 불이익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증권사들은 지난해 좋은 실적으로 대규모 성과급을 받는 가운데 올해 들어 증시가 좋지 않아 고객들의 불만이 커지는 상황이라 매우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은행 등 금융권이 예대금리 차로 거둔 이익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데 대해 불편한 기색이다.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성과급 지급에 직접적인 평가는 자제하면서도 대손충당금 확충 등 위기에 대비한 완충능력 보강에 재원을 쌓으라고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금융사들의 성과급 지급과 관련해 "지금 상황에서는 앞으로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손실 흡수능력을 확충하는 데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