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생산가능인구 10년 증가폭 반토막”
2020~2030년 인력수급 전망
고용부, 15세 이상 노동인구
396만→134.4만명 증가폭 급감
취업자수 2025년이후 감소 전환
고용구조 급속한 재편 불가피

정부가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가 지난 10년(2010~2020년) 증가폭(396만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134만4000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287만2000명 증가했던 취업자 수는 98만명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국내 노동시장의 공급제약과 고용구조의 급속한 재편이 발생할 것이란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3일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통해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가 2030년까지 134만4000명 증가하지만 증가속도는 크게 둔화된다고 예상했다. 앞서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지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463만3000명 증가했고, 2010년부터 2020년까지 396만명 증가했다. 아울러 15~64세는 인구 감소폭이 확대돼 320만2000명 급감할 것으로 봤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청년층 비중이 급격하게 낮아지고 장년층 이상 비중이 크게 높아지는 것이다. 실제 청년층의 연령병 인구 비중은 2010년 23.8%에서 2020년 19.9%로 감소한 데 이어 2030년에는 14.7%로 5.2%포인트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50세 이상 인구는 2010년 35.1%에서 2020년 45.8%, 2030년 55.0%로 9.2%p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15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은 고령화로 소폭 감소(-0.2%포인트)하는 반면 15~64세 참가율은 2.8%포인트 큰 폭 상승한다. 15세 이상 참가율은 베이비붐세대가 65세로 편입되는 2024년 정점(63.5%)을 기록한 이후 감소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30~40대와 60대 등 모든 연령대의 참가율 상승에도 참가율이 낮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져 전체 참가율은 하락하게 된다.

15세 이상 취업자는 2030년까지 98만4000명 증가한다. 앞서 지난 2000~2010년 취업자는 286만명, 2010~2020년 취업자는 287만2000명 증가한 바 있다. 취업자 수가 급감하는 시점은 2025년으로 예상된다. 서비스업 취업자는 보건복지업(78만1000명)을 중심으로 113만1000명 증가하는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2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업 내에서도 디지털 뉴딜 등 기술혁신 및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는 정보통신업(13만5000명)과 전문과학기술(11만5000명)의 증가세가 예상되는 반면, 도소매업은 자동화와 제조업 둔화로 약 14만명 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도 전자(9만명)와 전기(5만명), 화학(1만7000명) 업종은 증가하지만 자동차·트레일러(-8만8000명)는 친환경차 개발로 내연기관 부품업종이 급감한다.

다만, 고용부는 오는 2035년 취업자 수가 앞선 전망치(2755만8000명)보다 15만4000명 많은 2771만1000명으로 늘어난다고 봤다. 2026년 이후 정보통신기술 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크게 늘기 때문이다. 반면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자동차, 운수업 등은 줄어들 것으로 봤다. 또 자리 대체 가능성이 높은 직종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