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독] 신한, 자사주 매입·소각 나서나
본격적인 주주환원정책 내놔야
“상장·유통주식, KB만큼 줄여야” 목소리
감독원 “허가사항은 아냐”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3일 서울시 중구에 있는 신한금융 본사에서 조용병 회장을 비롯한 그룹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 신한경영포럼’을 개최했다.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신한지주가 연내 자사주 매입 및 소각하는 방안을 추진할 전망이다. 코로나19 이후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주가가 역주행하는 상황에서 주가 부양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으로 풀이된다.

다만 자사주 매입 및 소각과 관련한 구체적인 윤곽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신한지주 일각에선 KB금융 수준으로 주식 수를 줄여 주주가치를 제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글로벌 PEF 달래기…자사주 소각 및 매입 검토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지주는 자사주 소각 및 매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지난 3일 진행된 ‘2022년 신한경영포럼’에서도 IR 관계자 입을 통해 ‘자사주 매입’의 필요성이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통상 함께 이뤄지는데 발행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주주 환원 정책으로 손꼽힌다. 신한지주가 지난 몇 년간 각종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을 키운 데다 조용병 신한지주 회장의 법률 리스크도 해소되면서 시장에서는 올해 본격적인 주주 환원 정책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신한지주가 자사주 매입, 소각에 이처럼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 건 주가에 대한 대내외적인 압박이 커져서다. 신한지주는 지난 2020년 유상증자를 통해 글로벌 사모펀드(PEF)인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어피니티)와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아시아(베어링PEA)로부터 1조16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2019년에는 IMM PE로부터 7500억원의 투자를 받는 등 글로벌 PEF들을 주주로 확보한 상태다. 신한지주가 균등 분기배당 등을 언급해온 것도 글로벌 PEF 등 전략적 투자자들과의 우호적 관계를 통해 지배구조를 안정화하려는 의도와 맞닿아 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리딩뱅크 라이벌로 꼽히는 KB금융과 주가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신한지주 사외이사들이 지난해 말 태스크포스(TF)를 꾸려 C레벨 임원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질문했던 부분도 ‘주가’였다.

지난 4일 종가 기준으로 신한지주 주가는 3만7600원이다. 2년 전 4만원대에 머물던 것과 대조적이다. 반면 KB금융 주가는 5만6000원대를 기록하며, 최근 2년간 20% 이상 주가가 상승했다. 이 밖에 하나금융, 우리금융도 각각 4만3000원, 1만3000원대에서 움직이며 해당 기간에 20% 이상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주가 부양 위해 자사주 매입·소각…‘단기적 효과일 뿐’ 비판도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방안이 이제 첫걸음을 뗀 만큼 어느 정도 규모로 매입·소각이 이뤄질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신한지주 내에서는 라이벌인 KB금융에 견줘 일차적인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한지주 주가가 올라가지 못하는 핵심 이유 중 하나는 주식 수가 너무 많기 때문”이라며 “금융 당국만 동의한다면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통해 유통물량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신한지주의 상장주식 수는 5억1659만9000주, 유동주식 수는 4억2901만8000주다. KB금융의 상장주식 수가 4억1580만7000주, 유동주식 수 3억2278만1000주인 점을 고려하면 1억주가량 차이가 난다. 주식 수 자체를 인위적으로 줄이면 KB금융과의 갭도 좁히고, 확실한 주가 부양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인위적인 자사주 매입 및 소각만으로는 본질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시가총액이 한때 45조원, 33조원에 육박했던 점을 참작하면 주가 부양이 인위적인 조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계열사들의 경쟁력 강화, 디지털 및 글로벌, 유니콘기업 발굴 등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본질적 움직임이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주가 부양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단순히 주식 수가 많다는 이유로 주가가 못 오른다고 보기엔 궁색한 측면이 있어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과의 교감도 필요한 부분이다. 금융감독원은 “배당, 자사주 소각 등 지주가 결정하는 것이지, 모두 허가 사항은 아니다”고 했다. 다만 코로나19 충격 완화를 위해 각 지주에 배당 자제 등을 권고했던 것을 고려하면 당국의 설득도 넘어야 할 산으로 꼽힌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