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업계 ESG 대응은 ‘지체자’ 수준”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ESG(사회, 환경, 지배구조)가 세계 경제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은행권의 ESG 대응은 가장 낮은 ‘지체’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은행업계에서도 지속가능대출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등 ESG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6일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브리프’에 실린 ‘은행업계의 지속가능대출 사업모델 구축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 분야 18개 국제 비정부기구 네트워크인 뱅크트랙의 보고서 ‘은행과 화석연료금융’은 전 세계 60개 은행 중 50개 은행이 지속가능대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화석연료대출 은행정책 평점에서 50점 이하를 받아 ‘지체자’로 분류했다.

해당 평점은 선두주자(leader, 150.5~200점), 유력주자(front runner, 100.5~150점), 추종자(follower, 50.5~100점), 지체자(laggard, 0~50점) 등 4개 범주로 나뉜다.

뱅크트랙 보고서는 은행이 지속가능대출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로 규제 및 표준화 미비, 자금회수기간·위험평가·고개성숙도의 불확실성 등을 꼽았다.

전 세계 지속가능대출 금액이 2017년말 약 50억달러에서 2020년말 약 1200억달러로 급증했지만, 은행업계가 지속가능대출의 적극적 참여에 있어서는 아직 신중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ESG에 대한 관심과 영향이 커지면서 은행권에서도 지속가능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경우 ESG를 중시하는 기관 투자자나 금융당국 등과 마찰을 빚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EU 역내 은행들은 내년부터 녹색자산비율 공시를 의무화해야 한다. 유럽은행감독청이 결의한 행정지침에 따른 것으로, 투자자들이 친환경 대출·수출금융·유동화증권 등이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은행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취지이다.

이광상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ESG 요소가 중시되는 규제 환경이나 공적지원 강화는 기업 등 은행 고객의 지속가능대출 수요를 크게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ESG 규제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은행들은 ESG 관련 제반 위험이 증가해 결과적으로 신용위험 증대, 대출조건 악화, 수익성 저하 등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은행들도 지속가능대출을 위해 고객, 투자자 성향, 규제 환경 등을 선제적으로 파악해 새로운 수익 기회를 창출하고 시장 선점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