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상자산 열풍? 그래도 현금!
안전 피난처 역할 더 굳건해져
[게티이미지]

지급결제의 디지털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에 따라 지구상 현금 사용이 사라질 거란 관측이 제기된 바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결과는 전혀 달랐다.

재화·서비스 거래를 위한 교환매개 수단으로의 입지는 과거보다 축소된 게 사실이지만, 가치저장 수단으로의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6면

특히 인플레이션에 따른 화폐가치 훼손 우려에도 현금 유통량은 이번 위기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는데, 코로나19가 현금이 현존하는 최고 안전 축재(蓄財) 수단이란 인식을 강화시켰단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경제정책연구소(CEPR, 조나단 애쉬워스·찰스 굿하트)가 최근 발표한 논문 ‘거대한 코로나 현금 증가-디지털화는 현금의 안전 피난처 역할을 약화시키지 않았다’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68개국(경제협력개발기구 소속 34개국, 여타 신흥국 34개국)의 현금 유통규모는 전년 대비 평균 1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68개 나라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구매력평가기준)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19년에는 2018년보다 6.5% 상승했는데, 작년엔 증가율이 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는 2010~2014년(11.2%)과 2015~2019년(8.3%)의 평균 증가율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작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 증가율은 13.8%로 2019년 증가율(5.3%)을 크게 상회했고,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는 20.0%로 전년 증가율(5.6%)보다 네 배 가까이 확대됐다.

나라별로 보면 미국(15.2%), 독일(10.6%), 일본(4.8%), 영국(9.1%), 중국(9.2%)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장기(직전5년)평균 대비 2~3배 증가했다. 이는 과거 대공황이나 전쟁 시기보단 낮지만, 2008년이나 2000년 Y2K 사태 당시 대비해선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증가율은 18.9%로 전년 증가율(10.1%)과 큰 격차를 나타냈으며, 2015~2019년 평균 증가율(12.3%)도 웃도는 등 현금 유통이 그 어느 나라 못지 않게 활발히 이뤄졌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