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급 없는 금리인상 집값하락보다 거래감소로 이어질 것” [부동산360]
금리인상 계속되면 신규 주택공급도 차질 우려
부동산 영향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서울 시중은행 대출 상품 관련 안내문. [연합]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은행 문턱이 높아지고 있다. 연리 2~3% 정도 이자만 내면 몇 억원씩 턱턱 빌려준다던 은행 현수막과 전단도 이제는 보기 힘들다.

금리인상은 부동산시장에 바로 영향을 준다. 집을 사려는 사람이 주저하는 사이, 팔고자 하는 매물은 하나 둘씩 쌓인다. 서민의 주거사다리인 전세도 진입장벽이 높아졌다. 소득이 많아도 몇 억원의 목돈이 없다면 월세를 벗어나기 힘든 구조가 고착화됐다.

심지어 신규 주택 공급마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자 부담이 커진 건설사들은 신규 주택 건설을 주저하고, 그나마 새로 지은 주택도 매수자를 찾기 힘들 것이라고 걱정이다.

금리인상에 정부의 대출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부동산시장 전체가 연쇄적으로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드는 모양새다.

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 혼합형(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전날 기준 4.00~5.20%를 기록했다. 불과 이틀 사이에 0.12%가 오른 것이다. 다른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담대 금리 역시 지난 8월과 비교해 1%포인트가량 올랐다. 업계에서는 올해 말 대출금리가 6% 선에 육박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달부터 본격화된 금리인상은 정부의 대출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주택매매시장에 바로 영향을 미쳤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6억원에서 9억원 사이 중저가 아파트 거래는 9월 678건으로, 두 달 전보다 43%가 줄었다. 아직 집계 중인 10월 거래량 역시 마찬가지라는 분석이다. 은행 대출을 끼고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서민층이 사고팔지를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서울 강남 등 15억원이 넘는 아파트단지에서는 신고가 행진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2019년부터 주택담보대출이 금지된 까닭에 현금 여력이 충분한 사람들이 ‘똘똘한 한 채’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전월세도 마찬가지다. 집값 급등으로 전세 가격 역시 2~3년 사이 크게 오르면서 은행의 전세대출 의존도 역시 높아졌다. 실제 시중 5대은행의 올해 전세대출은 지난해보다 16.9%가 늘었다.

하지만 이 역시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어쩔 수 없이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5월 1만1000건에 달했던 전세 거래는 10월 6600건대로 크게 줄었다. 반면 월세 거래는 매달 5000건 이상 이뤄지는 모습이다. 전세대출 자체도 정부 규제로 힘들어지고 그나마 이율까지 올라가면서 월세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었다는 말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대출과 금리인상의 투트랙 규제에서 입주물량 증가가 더해진다면 주택 가격은 크게 조정될 수 있겠지만 지금처럼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집값 하락보다는 거래량 감소와 상승폭 둔화의 현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업계 일각에서는 금리의 가파른 인상이 자칫 신규 공급의 숨통까지 막을 수 있다는 우려도 쏟아냈다. 입주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중도금 무이자 대출’ 같은 유인책을 건설사들이 더는 쓰기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의 대출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이미 어렵게 당첨된 아파트를 포기하는 사례도 하나 둘 나오는 모습이다.

하지만 금리인상이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2015년 등 과거 금리인상시기에도 주택 가격은 꾸준히 상승했다는 경험이 그 근거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금리를 단숨에 2~3% 이상 크게 올리지 않는 이상, 코로나19 사태 이후 늘어난 현금부자들이 이끄는 부동산시장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