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재생 발전설비 규모 ‘역대 최고’…발전량은 제자리, 왜?
전체 발전설비의 17.3%…원전 수준
발전량 비중 8% 그쳐…간헐성 ‘한계’
“수소에너지 등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신재생 에너지 이미지. [123RF]

[헤럴드경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발전량은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전력 전력통계 속보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신재생 발전설비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한 22.7GW였다.

국내 전체 발전 설비용량(131.3GW)에서 신재생 발전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7.3%로 나타났다. 이는 원전 (23.3GW·17.7%)과 비슷한 수준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올해 월평균 약 0.3GW씩 증가했다. 이 추세라면 연내 원전 설비용량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원 중 설비용량 비중이 가장 높은 에너지원은 가스발전으로 전체의 31%인 41.2GW였다. 석탄이 28%(36.8GW)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량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올해 7월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만5742GWh로, 전체 발전량 중 8%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국내 발전량은 석탄 33.3%, LNG 30.4%, 원전 26.9%, 재생에너지 7.7% 순이었다.

신재생에너지의 설비 비중(17.3%)과 발전 비중(7.7%)의 차이는 간헐성과 불확실성이라는 근본적인 한계 탓이다. 실제 신재생에너지 설비 가운데 태양광은 73%에 달하지만, 신재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발전량은 54%로 차이가 컸다.

이런 현상은 겨울철에 두드러진다. 지난겨울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중 태양광발전 비중은 70% 이상이었다. 하지만 실제 발전 비중은 35%에 그쳤다. 설비 용량의 절반 이상이 유휴 상태였다는 의미다.

반면 대표적인 신에너지로 꼽히는 연료전지 발전은 설비용량 비중이 3%지만,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1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연료전지 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에서 수소를 분리하고 이를 산소와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화력발전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공해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태양광이나 풍력보다 공간 효율성도 좋다. 입지 제약을 받지 않아 친환경 분산 전원으로 주목받는 이유다. 전기 생산 중 발생한 열은 온수 생산이 가능해 난방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기후 등 다양한 영향으로 간헐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최근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력 대란 우려가 커진 만큼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