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발품’과 ‘소통’으로 K-방역 기틀 다져[헤경이 만난 인물]
복지부 차관 때 메르스 수습
방역관 증원·일일 브리핑 등
현재 국가방역체계 기틀 잡아
방문규 한국수출입은행장은 “수은의 경쟁력이 기업의 경쟁력”이라며 전문성을 갖춘 수출금융기관이 되겠다고 밝혔다. 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확산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세계 어느 나라보다 성공적인 방역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5년 메르스(MERS) 사태 이후 국가방역체계를 잘 정비해 놓은 덕분이다. 지난해 말 퇴임한 박능후 전 보건복지부 장관도 지난달 한 행사에서 “메르스 겪으며 재설계한 방역체계가 코로나19 초기 대응에 큰 힘을 발휘했다”고 평가했다.

방문규 수출입은행장은 이러한 ‘K-방역’의 기틀을 마련한 숨은 공로자다. 메르스 사태 막바지였던 2015년 10월 방 행장은 보건복지부 차관으로 부임한다. 이 해 12월 메르스 종식 이후 정부는 국가방역체계 개편에 나서는 데, 보건복지부 차관이 실무를 이끌었다. 이 때 만든 방역체계가 지금의 코로나19 상황에서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당시 제일 중요한 것이 훈련된 지역 방역관(의사)을 증원하는 것이었어요. 보건소마다 방역관이 있지 않으면 특정 지역에서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다른 지역 방역관이 출장을 가야 하는 등 대응 효율성이 떨어지거든요.”

방 행장은 당시 자신은 행정적 보조역할을 했을 뿐이라며 공을 당시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돌렸지만, 사실 그의 역할도 상당했다.

“보건소에 배정되는 인건비에도 한계가 있는데 오지 지역에 따라 2억원이 넘는 인건비 때문에 의사 충원이 쉽지 않았죠. 장관과 국비에 지방비까지 함께 투입해서라도 더 많은 방역관을 확충하자고 전략을 짰습니다.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를 오가며 협의해 인건비를 더 늘려 방역관을 둘 수 있었죠”

기획재정부에서 예산을 담당했던 경력이 결정적었다. 코로나19로 방역 인력은 여전히 부족하지만 그나마 메르스 이후 늘려놓았기에 현재 수준의 대응이나마 가능할 수 있었다. 지금은 너무나 익숙해져 일상이 돼 버린 방역 상황 일일브리핑도 방 행장이 뿌린 씨앗이다.

2015년 10월 건국대 학교에서 원인 불명의 집단 폐렴이 발생해 55명의 환자가 감염된 일이 시작이었다. 메르스로 한 번 홍역을 치른 터라 국민들 사이에서는 ‘건대 괴질’ 등의 이름으로 공포심이 빠르게 확대됐다. 곧이어 11월에는 목동 한 의원에서 주사기를 재사용해 환자 수십명에게 C형 간염이 전염된 일까지 발생했다. 방 행장은 매일 담당자가 상황을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알리라고 지시했다. 기재부 대변인을 지내며 소통의 중요성을 이미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메르스 사태를 반성해 보니 소통 부족이 유언비어를 낳고 큰 혼란을 초래했어요. 담당자들은 그런 사태가 나도 가급적 브리핑을 꺼려하는데 무엇이라도 하라 지시했죠. 브리핑 할 게 없다면 ‘앞으로 뭘 하겠다’는 말이라도 하자고 했죠.”

건대 폐렴 사태는 추후 전문가 역학조사 결과 끝내 확실한 원인을 찾지 못한 채 마무리됐지만, 더 이상의 혼란은 없었다.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을 철저히 하고, 진행 상황을 숨김 없이 국민에게 알림으로써 선제적으로 공포를 잠재운 것이다.

복지부는 박 행장 취임 직전인 2014년 정부 부처 가운데 청렴도 순위가 꼴찌를 기록하는 치욕을 겪었지만, 그가 퇴임한 2017년도에는 전 부처 중 가장 높은 2등급으로 뛰어올랐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