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석열 각종 여론조사서 1위…‘샤이보수’ 깨우고 野 ‘구심점’으로
한국갤럽 "윤석열·이재명 24%"
ARS 아닌 전화면접 조사에서도 적극적
ARS 비율 높을수록 '오픈' 성향은 여전히 높아
야권에서 '구심점' 역할강화
국힘-국당 '러브콜' 이유…향후 거취 주목

윤석열 전 검찰총장[연합]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최근 들어 발표된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잇따라 1위를 기록하며 정치권 최대 폭풍의 핵으로 떠올랐다. 그동안 뚜렷한 ‘기대주’를 찾지 못하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은 것은 물론이고,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대 분위기가 강한 중도층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윤 전 총장이 몸은 자기 정치권 바깥에 두면서도 이른바 ‘샤이 보수’들을 깨우며 중도·보수 야권의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12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9~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에게 차기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다고 생각하는지 자유응답 방식으로 물은 결과, 이재명 경기지사와 윤 전 총장이 각각 24%로 동률을 기록했다. 갤럽 조사에서 윤 전 총장이 1위를 한 것은 처음이다. 이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1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3%), 홍준표 무소속 의원(2%) 순이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각종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 전 총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이후 최근 일련의 차기 대선관련 조사들은 연초 양상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먼저 연초 12개기관 여론조사를 보면 윤 전 총장은 ARS 방식 3곳에서는 모두 1위를 차지했으나 전화면접 방식의 나머지 9개 기관에서 모두 1위를 놓쳤으며, 이중 5개 기관에서는 2위는커녕 3위로 밀리는 등 고전을 면치못했다.

이후 윤 전 총장의 정치권 진출 기류가 지지부진하면서 그에 대한 지지율도 하락했으나, 윤 전 총장은 직에서 내려온 직후 ARS 조사(KSOI-TBS·리얼미터-문화일보, 각 8.3·5.9%포인트차)에서 일제히 이 지사를 따돌리고 1위를 했다.

여기서 연초와 다른 점은 전화면접 방식 조사에서도 많은 ‘샤이보수’가 ‘오픈보수’로 이동했다는 데 있다. 31% 면접방식을 쓴 한길리서치-쿠키뉴스 조사에서 4.4%포인트차로 1위를 차지한 것. 100% 면접방식으로 진행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와 이날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이 지사에 1%포인트 차로 뒤지거나 동률 1위를 기록했으나, 연초에 비해 보수성향 유권자가 뚜렷한 목소리를 낸 것은 여전하다. ARS 비율이 높을수록 윤 전 총장 지지율이 높은 공식은 유지되고 있지만, 윤 전 총장의 야권 구심점 역할은 여실히 강화된 것이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작년 야권 정치인 중 황교안 전 총리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총선 이후 급락했다. 이외 안 대표와 홍 의원이 그나마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으나 이들 역시 국민의힘 지지층이나 무당층, 성향 보수층에서 선호도 한 자릿수에 그쳐 여권에 맞서는 구심점 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이 사퇴와 함께 지지율이 치솟자 최근 들어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윤 전 총장과의 인연이나 연대 가능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당지도부에서도 윤 전 총장과의 연대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시사하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향후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또는 국민의당과 손을 잡을 지, 또는 독자세력을 구축하는 것이 구심점 역할에 유리할 지를 두고 장고를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힘에 입당할 경우 탄탄한 조직력을 갖출 수 있으나 기존 정치세력에 흡수된다는 점과, 향후 당내에 자강론이 힘을 받을 경우 당내 경선 등 컨벤션효과에 동원되는 데 그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제 3지대 파트너로 주로 거론되는 국민의당의 경우 4.7 재보궐선거 성패가 윤 전 총장의 마음을 크게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