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대남 군사행동 보류 이유? 정세현 "미군 개입 부를 수 있어서"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연합]

[헤럴드경제=뉴스24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한 것은 미국의 개입을 피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분석했다.

27일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 인터뷰에 따르면 정 수석부의장은 “미국 정찰기가 감시하는 가운데 북한이 실제 무력을 행사하는 군사도발에 나서면 미군의 개입을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해 김 위원장이 군사행동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대북 전단 논란을 계기로 남측을 압박한 것에 대해선 “북한 내 불만을 외부로 돌리지 않으면 안 됐기 때문”이라며 “남북경제협력 사업 재개를 반영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한국에 압박하려는 노림수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미 워킹그룹 회의에서 미국이 난색을 보이면서 경협이 재개되지 않자 북한은 한국이 워킹그룹을 핑계로 삼지 못하도록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나 군사행동 계획 예고라는 충격적인 수법을 쓴 것”이라고 풀이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남북경제협력 사업 재개는 문재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한 약속”이라며 “한국 정부는 더 절실한 태도로 미국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탈북자 단체의 대북 전단 배포를 문제 삼아 남북 간 통신선을 차단하고 지난 16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폭파 다음날인 17일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대변인 입장문을 통해 “구체적인 군사행동 계획들이 검토되고 있다”며 “접경지역 부근에서 정상적인 각종 군사훈련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 매체는 김 위원장이 23일 주재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에서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했다고 보도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