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거주 탈북민 4% “돈 없어 끼니 걸러”
여성가족재단 탈북여성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7명 여성
11%, 전기료 등 공과금 밀린 경험
“자조모임 등 사회 참여 확대 절실”

“그냥 계속 혼자 쳐박혀서 살았어요. 센터나 이런 곳 통해서 어떤 도움을 받아야겠다는 생각 자체도 못했어요. 몇 년 간 나라에서 죽지 않을 정도로 돈 주니까 그냥 살다가 이제 그게 떨어지니까 뭘 해야 먹고 사나 이런 생각이…”(북한이탈여성, 50대)

“둘째가 10개월이었어요. 애 둘을 보니까 아프면 병원에 입원해 있고. 세살, 닷섯살 데리고 대학교를 다녔는데 진짜 힘들었어요.”(북한이탈여성, 40대)

2일 서울여성가족재단이 최근 보고서에서 소개한 북한이탈여성 심층 면접 사례다. 5개월 전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탈북 모자가 숨진 채 2개월 만에 발견돼 우리 사회에 충격을 던진 가운데, 이 보고서는 제 2, 제3의 탈북 모자 사건이 재현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목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이하 탈북민)은 여성 집중이 두드러진다. 2017년 말 기준 전체 북한이탈주민은 2만6430명으로 이 중 여성이 74.9%로 4명 중 3명 꼴이다. 특히 40대의 81.5%가 여성으로 절대 다수다.

전체 탈북민 중 25.2%는 서울에 살고 있으며, 서울 거주자의 69.9%가 여성이다. 중고등학교 학력(68.6%)이 가장 많다. 전체 탈북민 가운데 취업자는 56.0%로 간신히 절반을 넘는다.

특히 서울에 사는 탈북민의 경제고는 다른 지역보다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기준 전체의 62.7%가 탈북민 지원기관인 하나원에서 배정받은 집 또는 임대 아파트에서 거주 중인데, 서울에서 이 비율은 70.4%로 오른다.

전체 자기 소유의 집을 가진 이는 12.8%지만, 서울에 자기 집을 소유한 비율은 1.7%에 불과했다. 이는 경기(12.0%), 인천(9.8%), 비수도권(21.3%) 지역과 비교해 현저히 낮다. 전체 탈북민 가운데 전월세나 장기임대주택도 없는 거주지 불안 상태가 5.3%나 된다.

이들의 남한 내에서 지위는 절반에 가까운 46.4%가 하층 이하에 속한다고 답했다. 최하층이라는 응답도 10.1%에 달했다. 하층 이하에 속한다는 답변은 남자(51.3%)가 여자(44.7%) 보다 6.6%포인트 높았다.

과거 북한 내에서 사회경제적 지위로는 중간 계층(58.3%)이 가장 많았고, 상층부에 속했다고 응답한 남자도 9.2%(여자 6.9%)나 된 것과 대비된다. 실제 경험한 경제적으로 곤란했던 상황으로는 ▷공과금을 내야하는 날짜까지 내지 못함(9.2%) ▷본인 또는 가족의 교육비를 마련하기 위해 타인에게 빌림(9.1%) ▷병원비 부담(9.0%) 순으로 높았다.

서울 거주 탈북민의 경우 ▷공과금을 제때 내지못한 경험(11.2%) ▷병원비 부담(10.3%)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돈이 없어 끼니를 거른 적이 있다’는 비율도 서울(4.2%)은 경기(1.5%)나 인천(0.8%) 등 타 지역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남한생활에 대해선 72.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서울 거주 탈북민의 만족도는 70.8%로, 경기도(72.1%), 비수도권(75.2%) 보다 낮고, 인천(66.8%) 보다 높았다.

남한생활에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가족과 떨어져 살아야하는 점(27.4%)이 가장 많이 꼽혔다. 두번째 이유로는 남자는 ‘남한사회의 차별과 편견’(23.2%)을, 여자는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18.8%)가 각각 더 높게 나타나 남녀가 느끼는 불만족이 조금 달랐다. 이어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남한 사회에 적응이 어려워서’ 등의 순이었다. 이들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적 지원은 취·창업 지원(24.9%)였다. 이어 병원비 등 의료지원(17.8%), 자녀 교육 지원(13.7%) 등이었다.

보고서를 작성한 신하영 서울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탈북 모자 아사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선 “재북 시기 거주지역 중심의 자조 모임보다 현재 거주지, 현 일상공간을 기준으로 하는 자조모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서울시가 운영하는 다양한 민주주의, 성평등 협치 프로그램에 북한이탈여성을 우선적으로 참여시키는 등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참여시켜야한다”고 제언했다. 한지숙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