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환점 돈 文정부 ①] 84% 정점 찍고 39% 바닥 찍고…‘30개월 롤러코스터’ 그 장면들
-‘30개월 롤러코스터’ 국정지지도 돌아보니
-대북정책 성과로 정점…‘조국 사태’로 바닥
-84% ‘역대 최고’로 출발했지만 계속 하락세
-소통·정책변화로 중도층 못잡으면 전망 불투명
-전문가 역시 “후반기 국정은 ‘중도층’에 달렸다”
-“일희일비 않겠다”면서도 여론 주시하는 靑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84% vs 39%.’ 그야말로 ‘롤러코스터 30개월’이다. 오는 9일 임기 반환점을 맞는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2017년 대선 득표율(41.08%)을 크게 웃돌면서 대체로 견고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극과 극을 오갔다. ‘대북정책 성과’로 정점을 찍었고 ‘조국 사태’로 바닥을 쳤다.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에서 진전이 있을 때마다 올라간 국정 지지도는 민생·경제 악화와 인사 문제로 다시 내려갔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에 “일희일비 하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차례 밝혔지만 여론에 대해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가 국정 동력 약화로 이어질수 있는 만큼 위기때마다 국면 전환용 카드로 반전을 꾀했다. 임기 꼭 절반을 채우고 다시 출발선에 서는 문재인 정부 30개월을 국정 지지도(한국갤럽 기준)로 돌아봤다.

▶최고의 스타트…‘넘사벽’ 84%=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정국에서 탄생한 문재인 정부는 국민들의 큰 지지를 바탕으로 출발했다. 문 대통령은 적폐청산을 앞세워 검찰·경찰 등 권력기관 개혁을 외쳤고, 침체에 빠진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 가치를 정책의 핵심 기조로 삼았다. 한국갤럽이 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조사한 2017년 6월 1주차 국정 지지도는 84%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대통령 국정 지지도 가운데도 최고로 높은 수치로, 김영상 전 대통령 재임 중에 기록한 83%를 뛰어넘었다. 역대 대통령 취임 첫 국정 지지도만 살펴보면, 문 대통령 다음으로 71%인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이 이름을 올렸다. 노무현 전 대통령(60%), 노태우 전 대통령(57%), 이명박 전 대통령(52%), 박근혜 전 대통령(44%) 보다 출발점이 튼튼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7년 70~80%에 달하는 국정 지지도를 기록, 탄력적인 국정운영의 기반으로 삼았다. 2017년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60%대를 기록한 것은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9월 2주(69%), 9월 4주(65%)로 단 2차례 뿐이다. 첫해는 탄탄대로를 달린 셈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남북 화해무드와 이로인한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에 힘입어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에는 83%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그해 7월 이후 국정 지지도는 하락세를 기록했는데, 가장 큰 원인은 민생경제였다. 특히 최저임금과 소득주도성장 논란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것이 작용했다. 7월말 60%대 초반으로 떨어진 국정 지지도는 8월 2주차 58%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50%대에 접어들었고, 각종 경제지표 악화가 가시화하자 9월 1주차에는 49%까지 내려갔다. 평양 남북정상회담 이후인 9월 3주차엔 61%로 올라간 뒤 잠시 회복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9일 청와대에서 조국 신임 법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연합]

▶조국 사태로 39%까지 추락…임기 절반땐 44%=취임후 처음으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지르는 ‘데트 크로스’(dead cross)가 나타난 것은 2018년 12월 3주차 때다.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45%에 그쳤고 부정평가가 46%까지 올랐는데, 민생·경제 문제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큰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청와대 전 특별감찰반원의 폭로 논란까지 겹치면서 부정적 여론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됐다.

올해 국정지지도는 48%(1월 1주)로 출발해 주로 45%대 중후반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역사적인 ‘6·30 판문점 남북미 정상회동’ 다음주인 7월 첫 주에는 올해 최고인 49%를 찍기도 했다. 하지만 ‘조국 사태’로 인한 갈등이 격화되면서 줄곧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후인 8월 4주차 국정 지지도는 45%로 떨어졌고, 검찰 수사 개시와 인사청문회 등을 거치며 40%까지 내려갔다. 특히 조 전 장관의 사퇴 이후인 10월 3주차에는 중도층과 30대가 이탈하면서 ‘40% 벽’마저 붕괴한 39%까지 떨어져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때 부정평가 역시 취임 후 최고치인 53%를 기록했고, 부정평가와 긍정평가 차이(14%포인트) 역시 최대치로 벌어지기도 했다.

취임 반환점을 코앞에 둔 10월 5주차 국정지지도는 전주보다 3%포인트 오른 44%를 기록했다. 반환점을 돌면서 국정 지지도는 소폭의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역대 정권의 반환점을 놓고 비교해 본다면 나쁘지는 않은 성적이다. 역대 대통령 3년차 2분기 국정 지지도를 기준으로 하면, 문 대통령의 44%보다 높았던 경우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49%(2010년 5월 부정평가 41%) 뿐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38%(2000년 5월 부정평가 26%), 박근혜 전 대통령은 36%(분기평균, 부정평가 54%), 노무현 전 대통령은 34%(2005년 5월, 부정평가 53%), 김영삼 전 대통령은 28%(1995년 5월, 부정평가 41%), 노태우 전 대통령은 18%(1990년 4월, 부정평가 62%)였다.

전문가들은 “탕평의 인사정책, 주요 경제정책의 기조 조정, 야권과의 소통에 주력하지 않으면 국정수행 지지도는 계속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며 “중도층과 널리 퍼져 있는 무당층의 향후 향방이 문재인정부 후반기의 국정동력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자세한 여론조사 개요 및 결과는 한국갤럽이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