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트럼프, 북미실무협상 찍고 3차회담 가자곤 했지만…
-文대통령 “3차 북미정상회담, 세계사적 대전환·업적될 것”
-트럼프, 대북제재·개성·금강산 등 ‘새로운 방법’은 제시 안해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뉴욕 인터콘티넨털 바클레이호텔에서 한미정상회담을 열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은 이번이 9번째다.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3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의 최대 화두는 3차 북미정상회담이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중인 문 대통령의 숙소 인터콘티넨털 바클레이호텔에서 65분간 정상회담을 가졌다. 회담에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을 비롯한 한미동맹 강화, 경제협력 확대, 그리고 역내협력 강화 등 양국 간 현안을 놓고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양국 정상은 하노이 결렬 이후 한반도 대화가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미 실무협상 재개를 앞두고 실무협상 진전을 통해 3차 북미정상회담이 이뤄져야한다는 인식을 보여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서부터 조만간 재개될 북미 실무협상이 3차 북미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대화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 아마도 한반도 비핵화의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지는 세계사적 대전환, 업적이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지 못한데 대해 푸념을 털어놓은 와중에 3차 북미정상회담이 큰 업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환기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3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관계는 매우 좋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관계도 매우 좋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 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김 위원장과 언제 만날 것인가라는 질문에 “곧 일어날 수 있다”는 답변을 세 차례나 되풀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해당 질문이 나오자 “조용히 하라”고 말한 뒤 이같이 답변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16일 평양을 방문할지를 묻는 질문에 가야 할 길이 남았다며 준비가 돼있지 않다고 밝힌 것과 별개로 3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자체에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곧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북미 실무협상에서 북한이 진전된 비핵화 조치를 내놓는다면 3차 북미정상회담을 열고 북한에 밝은 미래를 제공할 수 있다는 대북 유화메시지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양 정상이 회담에서 북한과의 관계전환과 적대관계 종식, 그리고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를 구축할 의지를 재확인했다면서 북한에 무력을 행사하지 않고 비핵화시 밝은 미래를 제공한다는 기존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소개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올해 말을 시한으로 제시하면서 3차 북미정상회담을 할 용의가 있다고 했고, 미국도 내년으로 넘어가면 대선정국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실무협상과 고위급회담을 거쳐 올해 안에 북미정상회담을 열고 합의를 도출하고 싶어할 것”이라며 “3차 북미정상회담 얘기가 나온 자체가 한미가 현 상황에 대해 상당히 고무돼있고 희망적으로 본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는 대북제재 완화라든가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등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하고 북한이 호평한 미국의 ‘새로운 방법’을 둘러싼 구체적인 내용은 제시되지 않았다. 청와대는 회담에서 ‘새로운 방법’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으며 구체적인 논의 내용도 공개하기 어렵다며 양 정상이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진전시키기 위한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고만 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미국이 실무협상에 앞서 먼저 양보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라며 “이것이 미국의 기본입장이라면 북한으로서는 새로운 방법이 없는 만큼 실무협상에 나올 이유도 없어진다”고 진단했다. 신 센터장은 이어 “미국이 의도적으로 협상전략 차원에서 새로운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을 수는 있지만, 여러차례 제재완화는 없었다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에 실무협상이 재개되더라도 타결까지는 상당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