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미세먼지 과거엔 더 심했다…용산·송파구 현저히 감소

‘2017 서울 대기질 평가 보고서’ 분석

미세먼지 농도 2000년대에 비해 하락
서울 25개 자치구서 감소세 뚜렷
오전 5시~6시 농도 가장 낮아
오존 평균 농도는 지속 상승세


‘서울 미세먼지 농도가 점점 옅어지고 있다?’ 뻑뻑한 눈, 따가운 코, 뿌연 하늘…. 외출 전 마스크를 챙긴다. 스마트폰을 통해 대기질 상태를 꼼꼼히 살핀다. 공포가 된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서울시민 모습이다. 그런데 사실은 서울의 미세먼지가 점차 줄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어 주목된다. 2000년대 초와 비교하면 확연히 나아졌다는 게 핵심이다.

▶미세먼지ㆍ초미세먼지 모두 감소=3일 서울시가 펴낸 ‘2017 서울 대기질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미세먼지(PM-10) 평균 농도는 지난 2001년 71㎍/㎥에서 2005년 58㎍/㎥, 2009년 54㎍/㎥, 2013년 45㎍/㎥, 지난해 44㎍/㎥ 등 계속 줄고 있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도 2001년 43㎍/㎥, 2005년 29㎍/㎥, 2009년 26㎍/㎥, 2013년과 지난해 각각 25㎍/㎥ 등 감소세에 있는 모습이다.

2001년과 지난해를 비교하면 미세먼지는 38.1%(27㎍/㎥), 초미세먼지는 41.9%(18㎍/㎥) 적어진 셈이다.

이산화질소 농도도 옅어지고 있다. 2001년 0.037ppm, 2005년 0.034ppm, 2009년 0.035ppm, 2013년 0.033ppm에서 지난해 0.030ppm까지 떨어졌다.

▶용산구ㆍ송파구 등 감소세 뚜렷=최근 10년을 보면 서울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007년 61㎍/㎥에서 지난해 44㎍/㎥까지 27.9%(17㎍/㎥) 옅어졌다.

그 기간 중 서울 25곳 자치구 가운데 가장 큰 성과를 본 곳은 용산구다.

용산구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2007년 63㎍/㎥에서 지난해 39㎍/㎥까지 38.1%(24㎍/㎥) 줄었다.

같은 기준 강북구는 59㎍/㎥에서 37㎍/㎥로 37.3%(22㎍/㎥), 송파구는 70㎍/㎥에서 45㎍/㎥로 35.8%(25㎍/㎥), 금천구는 63㎍/㎥에서 41㎍/㎥로 35.0%(22㎍/㎥) 감소했다.

서울 초미세먼지 한 해 평균 농도는 2007년 30㎍/㎥에서 지난해 25㎍/㎥까지 16.7%(5㎍/㎥) 줄었다.

가장 큰 폭 줄어든 곳은 송파구로 같은 기준 34㎍/㎥에서 23㎍/㎥로 32.4%(11㎍/㎥)가 감소했다. 강동구와 도봉구는 각각 35㎍/㎥에서 24㎍/㎥로 31.5%(11㎍/㎥), 노원구는 35㎍/㎥에서 25㎍/㎥로 28.6%(10㎍/㎥) 적어졌다. 그 다음 종로구와 강서구가 각각 33㎍/㎥에서 24㎍/㎥로 27.3%(9㎍/㎥), 금천구가 35㎍/㎥에서 26㎍/㎥로 25.8%(9㎍/㎥), 중랑구가 31㎍/㎥에서 24㎍/㎥로 22.6%(7㎍/㎥) 줄어든 모습이다.

▶가장 맑을 때는 8월 이른 오전=지난해 서울 하늘이 가장 맑았던 때는 한여름인 8월로 나타났다.

서울의 8월 미세먼지ㆍ초미세먼지 농도는 21㎍/㎥ㆍ13㎍/㎥로 집계됐다. 그 해 평균(44㎍/㎥ㆍ25㎍/㎥)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이어 10월(29㎍/㎥ㆍ15㎍/㎥), 9월(32㎍/㎥ㆍ19㎍/㎥), 7월(33㎍/㎥ㆍ22㎍/㎥) 순이었다.

반대로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았던 달은 5월로 평균 63㎍/㎥를 기록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짙었던 달은 3월로 평균 39㎍/㎥ 수준이다. 1월과 12월(각각 32㎍/㎥), 2월(28㎍/㎥) 등도 높다.

시간대로 볼 때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았던 때는 오전 5시와 6시였다. 각각 40㎍/㎥ 수준이다. 오전 4시와 7시(각각 41㎍/㎥)도 적은 편이었다. 초미세먼지 농도는 오전 8시가 23㎍/㎥로 가장 낮았다. 이어 오전 4~7시, 오전 9~10시, 오후 2~4시 때가 각각 24㎍/㎥로 비교적 낮은 편에 속했다.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는 오전 11시~오후 12시, 오후 5시로 각각 46㎍/㎥였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는 오후 10시로 수치는 27㎍/㎥까지 올랐다.

▶‘오존의 역습’ 주의해야=미세먼지는 줄고 있다한들 방심할 순 없다. 매년 짙어지는 오존 때문이다.

오존은 백내장을 일으키고 그 자체로 광화학 스모그가 된다는 점에서 미세먼지 못지 않는 유해물질로 통한다. 차량 증가, 기후 변화 등이 발생 원인으로 꼽힌다. 눈에 보이지 않고 마스크도 듣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문제는 서울의 오존 농도 상승률이 심상치 않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한 해 평균 오존 농도는 2001년 0.015ppm, 2005년 0.017ppm, 2009년 0.021ppm, 2013년 0.022ppm, 지난해 0.025ppm 등 지속 상승세다.

지난해 기준 오존 농도는 6월이 0.041ppm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5월(0.039ppm), 4월(0.035ppm), 7월(0.030ppm) 순이었다. 가장 낮은 달은 12월(0.011ppm), 1월과 11월(각각 0.014ppm), 2월(0.018ppm) 등으로 집계됐다. 

이원율 기자/yul@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