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8 국감] ‘유해성 논란’ 여파 생리대 생산량 줄었다…면생리대만 3배 급증
지난해 불거진 ‘생리대 유해성 논란’ 이후 생리대 생산 실적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면생리대의 생산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 한 대형 마트의 생리대 판매대. [연합뉴스]

- 남인순 민주 의원 국감 자료 공개
-“‘친환경’ 등 과장광고 여부 살펴야”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지난해 불거진 ‘생리대 유해성 논란’ 이후 생리대 생산 실적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대신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면생리대의 생산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최근 3년간 생리대 생산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생리대 생산 실적은 2497억3647만원으로 전년(2016년ㆍ2861억6055만원)보다 12.3% 감소했다.

생리대 생산 빅5 업체(유한킴벌리ㆍ깨끗한나라ㆍLG유니참ㆍ한국P&Gㆍ웰크론헬스케어ㆍ생산 실적순)의 경우 지난해 생산 실적은 2373억118만원으로 전년(2016년ㆍ2817억181만원)보다 15.6% 줄었다.

반면 면생리대 생산 실적만 따로 살펴본 결과 지난해 61억2663만원으로 전년(2016년ㆍ21억2456만언)보다 약 3배(187%) 증가했다. 생리대 생산 빅5 업체는 2016년 2817억181만원에서 2017년 2373억 118만원으로 1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전체적으로 생리대 생산이 감소한 것은 생리컵, 직접 만들어 쓰는 대안 생리대 사용 등의 이유로 추측된다”며 “‘생리대가 안전하다’는 식약처 발표와 상관없이 여성들은 생리대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친환경’ 등을 표방하는 생리대에 대해 살펴볼 것도 주문했다. 그는 “지난해 안전성 논란 이후 ‘친환경’, ‘유기농’, ‘오가닉’을 표방하는 생리대가 증가했다”며 “이들 상품에 대한 허위ㆍ과장 광고 관련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생리대 안전 대책 중 하나로 이달 25일부터 시행되는 ‘생리대 전성분 표시제’의 경우, 품목허가(신고)증에 기재된 성분만 표시하도록 돼 있어 실제로 모든 성분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식약처는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식약처는 이달부터 생리대, 마스크, 구강 청결용 물휴지 등의 지면류 의약외품도 허가증ㆍ신고증에 기재된 모든 성분의 명칭을 용기나 포장에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내용의 약사법 일부 개정안 시행에 들어갔다.

이 중 생리대는 몸에 바로 닿는 물품이기에 표시되지 않은 성분으로 알레르기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그간 일회용 생리대의 전 성분을 표시하고 유해물질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많이 제기돼 왔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