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궁 빠진 ‘한반도 종전선언’… 靑 “빠를 수록 좋다” 했었는데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금방이라도 성사 될 것 같았던 ‘종전선언’이 미궁에 빠졌다. 정전협정일인 7월 27일을 염두에 두고 중재인 역할을 담당했던 청와대도 ‘첫 술에 배부르겠냐’며 한발 물러섰다. ‘올해 내에’라는 로드맵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북미 고위급 회담 결과의 종속 변수가 돼버린 ‘종전선언’은 아직은 먼 얘기다. 무역 갈등을 빚고 있는 미중 관계도 한반도 변수에 추가됐다. 변수 추가는 한반도 문제가 보다 복잡한 ‘고차방정식’이 됐음을 의미한다.

올해 4월 27일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물인 ‘판문점 선언’에는 올해 종전을 선언하고 평화체제 구축 노력을 본격 시작한다고 명시돼 있다. 당시 청와대 측은 종전선언 시기와 관련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고도 답했다. 굳이 ‘올해 안’이라는 시기 규정에 얽매이지 않고,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종전선언 시기를 당겼으면 하는 바람을 표명한 것이다.

난관은 지난 9일 열린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3차 방북 때 불거졌다.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을 떠난 직후 북측에선 ‘강도같은 일’이라고 미국측을 비난하는 성명이 나왔고, 폼페이오 장관 측도 ‘우리가 강도면 전세계가 강도’라고 맞받았다. 북미 양측이 부닥친 지점은 ‘종전선언’ 시기로 좁혀졌던 것으로 전해진다. 북측은 ‘종전선언’을 할 것을 요구했고, 미국 측은 지금은 때가 아니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이 정치적 선언에 불과하더라도 북미 비핵화 협상을 견인하는 하나의 촉매제로써의 가치가 있다고 보고 남북미 3자 종전선언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 앉는 듯 했던 종전선언 이슈는 북한이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다시 불이 붙었다. 북한은 6~7일 이뤄진 북미 고위급 회담 이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 형식을 통해 조기 종전선언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보다 적극적으로 북미 중재 역할을 해야한다는 전문가 주문에 대해선 “꼭 드러나지 않더라도 문 대통령이 그런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