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세판’ 폼페이오…시간표-신고서-유해 세가지 받아올까
[사진=백악관 제공]

-폼페이오, 비핵화 시간표ㆍ시설 신고서ㆍ유해송환 두고 담판
-北ㆍ美 내 강경파가 변수
-美, 한미훈련 외 물리적 체제보장도 관건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3차 방북은 6ㆍ12 북미 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협상의 순항여부와 북한의 실제적 비핵화 여지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싱가포르에서의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과 첫 고위급회담에 나서는 폼페이오 장관은 ▷전체적인 비핵화 시간표 ▷비핵화 초기단계인 핵ㆍ미사일 시설의 전면적 신고 및 공개 ▷미군 유해 송환이라는 세 가지 의제를 두고 북한과 담판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미국에 ▷테러지원국 지정 철회 ▷대북 인도적 지원 활성화 등에 대한 물리적인 추가 체제보장 조치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비핵화 시간표가 중요한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5일 헤럴드경제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최종적으로 비핵화해 핵 이슈가 다시 수면으로 오르지 않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 북핵문제의 해결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시사한 대목이다. 앞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제시한 ‘핵ㆍ대량살상무기(WMD)ㆍ탄도미사일 1년 내 폐기’라는 로드맵을 헤더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우리는 시간표를 내놓지 않겠다”고 말했지만, 이는 엄연히 무리한 속도전을 추구하지 않거나 정보를 공개하지 않겠다는 의도에서 나온 발언이었다. 실제 나워트 대변인은 이 발언과 함께 “해나가야 할 일이 많지만, 아직 회담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밝하지 않겠다”며 정보유출을 경계했다. 다만 미 국방부 고위관계자도 폼페이오 장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한 대표단을 만나 트럼프 행정부의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할 것이라고 한 점을 고려해 비핵화 시간표에 대한 북미 간 협의를 유추할 수 있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비확산 전문가들 등 자문을 토대로 북한 비핵화 로드맵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핵ㆍ미사일 시설 신고여부도 관건이다. 지난 1992년과 2008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크리스토 힐 미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북한과의 핵협상을 벌이면서 가장 어려워한 부분이 바로 북한의 신고부분이었다.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과의 무력충돌을 막고 가까스로 성사시킨 제네바 합의 또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생산 및 보유정황을 포착했다는 발표와 함께 파기됐다. 미국 국가이익센터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방연구국장은 “북한이 진정으로 비핵화를 추구한다면 핵무기와 핵시설의 크기, 범위, 그리고 그 규모를 신고하는 것이 비핵화의 첫단계”라며 “특별사찰 등 신고 및 검증방안에 대해 어떻게 응하느냐에 따라 북한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빅터 차 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는 “이번 회담에서는 미국이 북한에 모든 무기와 관련 시설 신고에 대한 약속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비핵화 논의의 첫 단계”라고 강조했다.

시간표와 핵ㆍ미사일 신고에 대한 합의없이 이뤄진 큰 틀에서의 합의는 미국 내 북핵협상 전문가와 대북강경파들의 회의론을 지필 가능성이 크다. 북미대화에 정통한 워싱턴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기정사실화한 동창리 미사일 엔진시험장을 폭파 등 시험장 하나하나를 ‘결실’로 따지게 된다면 워싱턴은 북한이 비핵화가 아닌 ‘핵군축대화’를 통해 시간을 끌려고 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십개가 넘는 핵ㆍ미사일 시설을 폐쇄해야 하는 상황에서 시설 하나 폐쇄할 때마다 보상을 해야 한다면 결국 비핵화의 속도보다 제재 완화 및 김정은 정권을 공고히 하는 체제보장 속도가 앞서게 되고, 미국으로선 협상의 실익이 없게 된다는 지적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비핵화 협상과는 별개로 미군 유해 송환에 대한 논의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유해송환 조치는 지난달 미국이 유해를 담을 나무상자를 보낸 이후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에게 유해 송환에 대한 사의를 표하고 추가적 유해 송환 및 북한의 인도적 조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회담을 통해 미국이 북한의 본격적인 비핵화 조치를 추구하게 된 만큼 미국이 어떤 체제보장 조치를 취할지도 주목된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를 강하고 추진하고 싶다고 해도 거기에 상응할 수 있는 체제보장 조치를 해야 나설 수 있을 것”이라며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체제보장 조치를 마련했다면 비핵화 초기단계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북한의 최대 관심사인 ‘대북제재 완화’에 대해서는 그러나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제재는 계속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미 국무부에서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거하는 등의 정치적 조치를 취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방북 일정을 마무리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해 방북 협의 결과를 공유한다. 외교부는 강 장관이 폼페이오 장관과의 회담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8일 방일해 회담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