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DMZ 생태 지키자”…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폐기 목소리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남북 정상의 역사적인 판문점 선언 이후 무르익는 평화무드 속에 한국전쟁이후 60여년 간 사람의 발길이 닿지않은 비무장지대의 생태 환경을 훼손해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이명박 정부 당시였던 2011년 만들어진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폐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논평을 통해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남북 양측이 공통의 목표를 설정하고 논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남한이 일방적으로 입안한 것”이라며 “더군다나 생태평화는 언어적 수사에 그치고, 일방적 개발 이념에 바탕하고 있어, 평화롭고 생태적인 상생의 한반도란 미래에 결코 부합하지 않는 이런 계획은 반드시 폐기되어야 한다”고 강도높게 말했다.
[사진=헤럴드DB]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2008년 신지역발전정책과 초광역권 기본방향, 2009년 12월 초광역권 기본구상의 후속조치로 오는 2030년까지 20년간 계획을 목표로 작성됐다. 이 계획은 생태관광벨트 육성, 저탄소 녹색성장지역조성, 동서남북간 교통인프라 구축, 세계평화협력의 상징공간 조성, 접경지역 특화발전지구 조성이라는 5개의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도 배치된다는 게 환경운동연합의 주장이다.

환경운동연합 측은 “H형 한반도 신경제지도에서 접경지역 평화벨트라 명명된 동서구간은 비무장지대의 관광ㆍ생태자원 공동개발과 평화협력지대 조성, 한강하구의 생태ㆍ역사 관광벨트 조성 및 수자원 공동관리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특히 이 모든 문제를 남북이 공동으로 협의해 구상을 실현하겠다는 화해와 협력의 개념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하드웨어적 개발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북경제협력이 가시화되면 접경지역은 남북 교류와 협력의 장이 되어야 하지만 자칫 필요 이상의 과잉개발로 부동산 투기장이 재현될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며 “무장지대와 접경지역은 전세계가 주목하는 야생동식물의 보고인데, 세계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국경 혹은 접경지역을 생태평화적으로 이용한 사례는 많다“고 덧붙였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