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뉴스탐색] 아무리 해명해도 “내 것도 가짜 투표 용지”…왜?
-여백 없는 투표용지 의혹 제기에
-’가짜 용지 피해자 모임‘까지 등장
-심리학자 “사후 기억 왜곡될 수 있어”


[헤럴드경제=신동윤ㆍ박로명 기자]이번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선 거짓정보 및 음모론 유포 등의 ‘가짜뉴스’가 어느 때보다 기승을 부렸다. 이 때문에 선관위 등 관계 기관의 해명이나 엄정 단속 등에도 불구하고 선거가 끝난 지금까지도 일부 시민들은 여전히 온라인 공간 등을 통해 의문을 제기 중이다.

선거 막판 온라인 공간을 뜨겁게 달구며 논란이 일었던 ‘가짜 투표 용지’ 소동은 선거가 끝난지 이틀이 지난 11일까지도 현재진행형이다.

현재 온라인상에 개설된 ‘가짜 투표 용지 피해자 모임’이란 이름의 커뮤니티에는 550여명의 회원이 가입된 상태다.

온라인상에 개설된 ‘가짜 투표 용지 피해자 모임’이란 이름의 커뮤니티. [출처=커뮤니티 화면 캡쳐]

가짜 투표 용지 논란은 사전투표 첫날인 4일 오후 4시 30분께 회원이 97만여명에 이르는 한 인터넷 카페에 올라온 ‘투표용지가 왜 다른가요?’라는 글로 시작됐다. ‘공식 투표용지는 후보별 기표란 사이에 (0.5㎝의) 여백이 있는데 그 여백이 없고 기표란 사이가 빈틈없이 붙은 투표용지를 받았다’는 주장이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즉각 이 같은 사실이 허구라고 해명, 괴담을 유포한 A 씨 등 11명을 지난 5일 검찰에 고발했지만, 온라인상에선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지난 9일 대선일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심리학계에선 인간의 불완전한 기억이 이 같은 문제를 일으켰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지호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기억은 사후에 왜곡될 수 있으며 외부적인 단서들로 편집되는 속성이 있다”며 “칸이 좁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투표했던 기억이 단서가 되어 여백이 없는 투표 용지를 사용했다고 왜곡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SNS 특성상 집단적으로 잘못된 기억을 확인ㆍ확증하기도 한다”며 “기억이 애매하면 동조 집단이 갖고 있는 기억과 개인의 기억이 일치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 2011년 이스라엘의 바이츠만과학연구소가 발표한 논문은 집단 기억 왜곡의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의 70%가 자신이 속한 그룹의 구성원들이 잘못된 대답을 할 경우 이전에 정확히 답했던 기억을 왜곡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이번 선거에선 시민들이 왜곡된 사실에 노출될 가능성이 그 어느 선거때보다 높았다. 선거관리위원회 사이버선거범죄대응센터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5월 6일까지 적발된 사이버상의 공직선거법 위반행위는 총 3만8657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가짜 뉴스 등이 포함된 허위사실공표·후보자 비방 등이 65.8%(2만5466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 대선 대비 6.3배나 급증한 수치다.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난 데 대해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는 “이번 대선에서 가짜 뉴스가 많았던 이유는 국민들이 정부나 특정 집단ㆍ기관을 신뢰하지 않아 부정선거가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선관위 관계자는 “그동안 허위사실공표ㆍ후보자 비방에 관련된 게시물에 대해서 삭제 요청을 해왔으나 대선이 종료된만큼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여 더 이상 조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요한 선거범죄에 대한 수사 의뢰나 고발 조치는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