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증 장애인, 치과진료 갈 병원이 없다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등 3%만 진료 가능

#자폐 1급의 중증 장애인 아들(22)을 둔 주부 김 모(52) 씨는 최근 아들의 치과 치료를 위해 동네 치과 의원부터 인근 치과 병원까지 이틀간 무려 치과 5곳을 돌아다녔다. 하지만 대부분 장애인을 위한 시설과 장비가 없었고 일부는 힘든 장애인 진료를 꺼렸다. 결국 김 씨는 한 장애인 전문 치과 병원을 찾은 뒤에야 전신마취 하에 아들에게 발치ㆍ충치 치료를 시킬 수 있었다.

김 씨 아들의 사례처럼 중증 장애인의 경우 칫솔질이 어려워 구강 관리 상태가 나쁘고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해 구강 질환이 심각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중증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달리 움직임을 통제하기가 어려워 간단한 스케일링이나 충치 치료에도 전신 마취가 필요하다. 하지만 막상 치료를 받으려고 해도 마땅히 갈만한 치과 자체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로 전국 치과 중 장애인을 치료할 수 있는 곳은 고작 3%에 불과했다.

장애인치과병원 관계자들이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의료 봉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

제37회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19일 스마일재단에서 실시ㆍ공개한 ‘2017년 장애인진료치과네트워크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돼 있는 전국 치과 1만7000여 곳 중 장애인을 진료할 수 있는 곳은 441곳으로 약 3%에 불과하다.

해마다 ‘장애인의 날’인 4월 20일이면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하지만 장애인 진료를 위해 병원에 시설 지원과 높은 의료수가를 보장해 주는 일본 등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장애인을 위한 실질적 의료 지원책이 부족하다고 의료계 안팎에서는 입을 모으고 있다.

금기연 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장은 “중증 장애인의 구강상태는 매우 열악하여 이미 많은 치아가 손상됐거나 통증이 있어도 참고 있는 실정이 대부분이지만 의사소통과 행동 조절이 쉽지 않아 일반적인 진료 의자에서 치료가 쉽지 않다”묘 “전신 마취 치과 치료를 결정하고도 사전 검사를 위해 이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이 타 외부 기관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 공공 의료기관인 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의 경우 중증 정신지체를 가진 장애인이 비장애인처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전문 의료진과 시설이 완비돼 있다. 또 활동 보조인을 통한 신체적 동반 서비스도 제공된다. 서울시 거주 장애인에게는 비급여 진료 과목에 대한 감면(의료급여 50%ㆍ건강보험 30%) 혜택도 지원하고 있다.

또 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은 중증 장애인이 치과 치료용 전신 마취를 위해 병원을 돌아다니며 사전 검사를 받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전신마취 치과 치료 원스톱시스템’을 지난해 9월 구축ㆍ운영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중증 장애인은 전신 마취에 필요한 심전도 검사, 흉부 X-ray 촬영, 혈액 검사 등 사전 검사는 물론 치과 치료까지 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에서 한 번에 받을 수 있다. 2015년 보건복지부 장애인 현황 통계를 살펴보면, 서울시 등록 장애인 39만3245명 중 중증장애인은 7만3300여명으나 되지만, 서울시 장애인치과병원을 알고 이용하는 환자는 약 7000명에 그치고 있다. 서울시 중증 장애인의 10%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신상윤 기자/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