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전경련, 재정자립 사회공헌 기구로 거듭나길
LG그룹이 전경련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전경련은 놀라는 눈치다. 삼성·SK는 물론이고 현대차 등도 뒤를 이어 공식적인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그동안 전경련을 떠받쳐 온 기둥과 서까래까지 모두 뽑혀 나가는 셈이다. 이젠 나머지 회원사들도 회비도 내지않고 활동도 하지않는 휴면상태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이달 초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전경련은 (미국) 헤리티지 단체처럼 운영하고 친목단체로 남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남아야 한다”에 방점을 둔 개혁 요구 정도로 받아들인 모양이지만 구 회장은 ‘해리티지 재단의 운영방식’을 염두한 것으로 드러났다. 헤리티지재단은 70만명에 이르는 거대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내는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싱크탱크다. 많아야 600여개 대기업 회원사를 거느린 전경련으로선 변신 불가능한 형태다. 해체에대한 우회적 발언이었던 셈이다.

전경련은 내년 2월 총회때 상정한다는 일정으로 현재 개혁안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몇차례 회의를 소집해도 회원사들의 참여가 저조하고 직접 찾아가 문의해도 별 진척이 없다. 자칫하면 전경련은 대기업 이익단체라는 명분도 수백억원이 넘는 예산도 한꺼번에 잃은 채 부채덩어리 건물과 사무국, 경제연구원의 고급인력만 덜렁 남게 될 수도 있다.

남은 길은 한가지다.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고 재정 자립한 사회공헌 기구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오늘날 전경련의 위상이 이처럼 추락한 것은 최근의 어버이연합 우회지원 논란이나 미르ㆍK스포츠재단 출연을 비롯해 수년전의 반(反)대기업정책 입법을 막기위한 ‘로비 대상 정치인 할당’ 파문 등 정경유착의 증좌가 너무 자주 드러났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반기업 정서는 이중적이다. 대기업의 수출이 국가경제를 지탱하는 기반임을 인정하면서 이윤극대화 경영을 비난한다. 대기업을 욕하면서 자식은 대기업에 취업시키고 싶어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최근 기업 경영의 화두는 경제적 가치와 동시에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자는 ‘공유가치 창출’ 개념이다.

아직 롯데와 한화 등 공식적인 결정을 미루는 곳도 없지 않다. 뭔가 국민의 반감을 추스리면서 대기업의 순기능을 극대화할 기구가 전혀 없어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재무적 독립도 필수적이다. 전경련 건물 임대료로 운영비를 충당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건설에 들어간 부채의 정리가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사무국이 풀어야 할 숙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