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송파구 5년간 1만7155가구 아파트 공급 ‘서울 최대’
-서울시 5년간 자치구별 아파트 분양 물량 집계

-서대문구 10548가구로 2위…용산 68가구 최저

-부동산 호황 2015년 급증…전년비 40% 많아져

-서울 재고아파트는 156만여 가구 ‘경기의 62%’

-분양ㆍ입주권 거래, 성동ㆍ송파구 미래성 집중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최근 5년간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분양 물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송파구였다. 올해 들어 강남구는 재개발ㆍ재건축 단지의 물량이 집중돼 가장 많은 자치구로 꼽혔다.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량은 성동구와 송파구 등 시세 상승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몰리며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12일 서울시가 집계한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6월) 자치구별 아파트 분양 물량 자료에 따르면 송파구가 1만7155가구로 가장 많았다. 서대문구(1만548가구), 서초구(9147가구), 강남구(8822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용산(68가구), 양천구(129가구), 도봉구(134가구) 등은 새 아파트가 워낙 적은데다, 일반분양 물량이 희소해 공급량이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에는 강남구에서 4127가구가 분양되며 자치구 가운데 최대를 기록했다. 서대문구(3014가구)는 두 번째에 이름을 올렸다. 강동구(2659가구), 성북구(1428가구)에서도 많은 물량이 분양됐다. 연내나 내년 이후 분양이 이뤄지는 강북구를 포함해 광진구, 구로구 등 10개 지자체에서 올해 9월까지 분양된 아파트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간 서울시에서 아파트 분양 물량이 가장 많았던 자치구는 송파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구 전국 최대 규모의 재건축 단지인 가락시영의 영향으로 올해 가락동의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가 활발했다. 사진은 송파구 전경. [사진=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서울시의 분양 물량은 부동산 시장 호황을 타고 2015년부터 급증했다. 지난해 서울에 분양된 물량은 총 2만9873가구로, 전년(2만1373가구), 2012년(1만7963가구)보다 각각 39.8%, 66.3% 증가했다. 올해는 일부 지역의 공급과잉 우려와 대출 규제 등으로 분양 물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호조를 보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분양시장 ‘막차’를 타기 위한 건설사의 밀어내기 분양과 규제를 앞두고 연말까지 분양이 계획된 곳도 적잖다. 11ㆍ3 부동산 대책을 의식한 가수요가 분양시장에 몰리며 청약 열기가 이어졌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11월말 기준 서울의 재고 아파트 가구 수는 156만2774가구로 나타났다. 경기(251만9129가구)의 62% 수준으로, 부산(69만3724가구)보다 2배 많은 규모다.

아파트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량은 분양이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분양권ㆍ입주권 거래량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 11월 기준 서울시 전체는 960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206건보다 4.3% 증가했다. 지낸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의 전매기간이 종료됨과 동시에 손바뀜이 빈번했다는 의미다. 자치구별로는 성동구가 1194건, 송파구가 1193건으로 많았다.

성동구는 왕십리 뉴타운과 금호동, 옥수동 일대의 재개발 물량이 두드러졌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성동구의 입주 물량은 올해 5600여 가구에 이어 2018년까지 4400여 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송파구는 전국 최대 규모의 재건축 사업장인 가락시영의 영향이 컸다. 가락동의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량은 올해 11월까지 810건이 거래되며 송파구 전체의 67.9%를 차지했다.

새 아파트 분양이 없었던 구로구는 25개 자치구 가운데 올해 단 1건의 입주권ㆍ분양권 거래도 없었다. 도봉구와 관악구는 각각 1건에 그쳤다.

2014년 국토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97.9%다. 가구 수 대비 수도권(98.2%)보다 적은 규모로 인구가 더 이탈하지 않는 이상 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아파트 추가 공급이 다주택자와 주거빈곤층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내년 이후 2년간 서울의 입주물량이 크게 늘겠지만, 주거 수요가 많아 소화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본다”며 “11ㆍ3 부동산 대책으로 청약 규제가 강화되고 집단대출에 대한 여신 심사 가이드라인가 적용되는 영향으로 분양물량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감소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