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달려오는 미래’ 산업혁명보다 10배 빠르고 3000배 강하다
-미래의 속도
맥킨지 세계경제 변화시킬 4대기둥 분석
도시화·기술속도·고령화의 역설등 제시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카이스트 석학 한국사회 위기 진단
“해법은 부정부패·특권·차별 일소”



‘위기와 기회’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세계가 요동치면서 생기는 지각변동은 단절을 일으키지만 한편으론 새로운 지형을 만들어낸다. 어느 쪽으로 기우느냐는 의미있는 변화를 초래할 근본적이고 파괴적인 흐름을 제대로 읽어내느냐에 있다.

글로벌 경제 및 트렌드 분석기관인 맥킨지는 25년에 걸친 연구를 토대로 세계 경제를 변화시킬 4개의 결정적인 트렌드를 잡아냈다. 바로 신흥국의 도시화, 기술의 속도, 고령화의 역설, 글로벌 커넥션이다.


맥킨지의 트렌드 분석결과를 담은 ‘미래의 속도’(청림출판)를 보면, 이 네 개의 기둥의 위력은 가공할 만하다. 산업혁명과 비교해 10배 빠르고 300배 더 크며, 영향력은 3000배 더 강하다. 이들은 세계 경제의 모든 분야와 모든 시장에서 오랫동안 지속돼온 관행을 무너트리며, 실제 우리 생활의 모든 분야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과거 산업혁명 때는 하나의 힘이 모든 것을 바꾸었지만 지금은 이 네 가지가 동시에 세계를 뒤흔든다는 점에서 가히 파괴적이다.

무엇보다 도시화의 속도는 상상 이상이다. 얼마전까지 이름조차 몰랐던 곳들이 속속 도시에 합류하며 많은변화를 겪고 있다. 기술의 발전 속도 또한 빠르고 파괴적이다. 누구도 겪지 못한 미래가 다가오고 있다. 기업의 구조변화와 금융, 사람,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의 이동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규칙을 필요로 하는 세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 규칙은 다름아닌 ▲새로운 소비자의 등장▲자원조달 비용의 한계와 신기술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초저금리다.

이런 불연속성은 암울한 절망을 끌어내지만 실제로는 희망적인 면이 많다는 게 맥킨지의 분석이다.

1990년부터 2010년 사이 10억명을 가난에서 벗어나게 한 변화의 힘이 앞으로 20년 동안 세계 20억명의 인구를 새로운 소비층으로 변화시킬 것이란 전망이다.

급속한 기술의 확산은 수많은 개인과 소비자의 힘을 강화시켜주고 기업의 한계비용을 제로 수준으로 낮춰준다.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세계 통신 시스템 및 상거래 시스템이 연결돼 나타나는 네트워크 효과를 톡톡이 보게된다. 그 결과,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게 해주고 세계는 더 부유해지고 더 도시화되며 더 건강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다소 장밋빛 전망이지만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부분도 많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카이스트(KAIST) 최고의 석학들이 내놓은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2017’(이콘)은 현 한국사회의 위기 진단과 미래전략을 담고 있다.

특히 이번 책은 미래전략 부분을 사회, 기술, 환경, 인구, 자원, 정치, 경제 각 분야로 나눠 세밀하게 살핀 게 특징이다. 분량이 무려 910쪽에 달한다. 이 작업에 2년간 200여명이 참여했다.

저자들은 우선 현 우리사회의 위기를 꼼곰이 짚었다. 저출산ㆍ고령화, 산업개편, 사회양극화 심화, 계층이동의 역동성 상실, 기술의 위기, 정부 R&D 정책 위기, 공동체 신뢰의 위기, 문화의 흑백논리 등 사회전반에일고 있는 불안징후들을 잡아내 어디서 비롯되는지를 점검해나간다.

이 가운데 저자들이 우리 사회공동체의 위기, 즉 공동체 존립의 근간이 되는 신뢰의 위기를 초래한 본질로 지목한 게 정치의 위기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정치의 위기는 초기에는 정치자체의 왜곡, 이를테면 ‘모든 인간들이 추구하는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 왜곡되어 국민기본권이 제약당하는 것에서 비롯되지만 이후 이런 현상이 확대되어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권위주의 정치가 구조화되면서 국민들의 정치 불신, 정부와 정치권력에 대한 불신, 궁극적으로 공동체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는게 저자들의 분석이다.

이 뿐이 아니다. 정치의 위기는 경제, 안보, 사회운용 등 다른 영역에까지 악영향을 미친다.

한국정치가 위기를 넘어 정상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대책과 방향성도 제시했다.

공동체의 기본가치를 흔들고 불신의 단초가 된 부정과 부패, 탈법과 편법, 특권과 차별이 일소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또 삼권분립의 책임정치 기반하의 정치체제 전면 개편, 정치인 집단이기주의 견제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정치개혁이 요구된다.

경제위기는 기초체력 상실, 구조적 경기침체, 주력산업의 한계와 신성장 산업의 미진함 등이 문제다.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서비스산업을 비롯해 유망한 신산업을 발굴하여 경쟁력을 선점해가는 전략이 시급하다.

연구책임자인 이광형 미래전략연구센터장은 이 책을 펴내면서, “그동안 배운 지식과 선비정신에 기반한 양심에 따라 국가의 미래를 바라보고 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고 털어놨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