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전기세 논란부터 식중독 집단발병까지
교육현장에서 집단 식중독이 발병했다. 지난 22일 하루에만 서울과 경북, 부산, 대구의 고등학교 5곳에서 727명의 학생이 학교 급식을 먹고서 식중독에 걸렸다.

식중독이 전국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점을 볼 때 조리 과정보다 식자재의 보관ㆍ관리 문제가 원인이라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24일째 지속되는 폭염이 학교급식 식자재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이다.

교육 행정의 손길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학교에서는 수은주가 연일 34~36℃까지 올라가도 전기료 부담 때문에 에어컨을 마음 놓고 틀지 못한다.

교육용 전기요금이 피크 사용전력을 기준으로 기본료를 산정하는 탓에 함부로 에어컨을 돌렸다간 일년 내내 높은 전기료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 차원에서 기껏 한다는 것이 이영 교육부 차관이 찜통 교실에 찾아가 교사와 학생들을 격려(?)한 것이 전부다.

식중독 문제도 마찬가지다. 기온이 높아지면 식중독 위험이 커지는 것은 필연적인 일. 이에 국민안전처는 최근 5년간 6~8월 중 식중독 발생률이 30%에 이르며, 올해는 이른 무더위로 그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한 바 있다. 그렇다면 교육행정은 개학하기 전에 식중독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관련 대책을 세워야 했다.

물론 정부가 가만히 있었던 것은 아니다. 정부 합동점검반이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학교급식 식자재에 대해 생산ㆍ유통부터 각급 학교의 소비과정까지 전 과정을 점검했다. 하지만 점검이 끝난 지 두 달도 되지 않아 집단 식중독이 발병하면서 과연 정부의 점검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뤄진 것인지 의문을 떨칠 수 없다.

학교급식은 연간 5조60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쓰는 주요 교육정책 중 하나다.

돈 문제를 떠나더라도 전국 1만2000여개의 학교에서 매일 614만명의 학생이 먹는, 차세대 구성원들의 건강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다. 교육행정은 사후약방문보다 근본적인 대책으로 매년 반복되는 학교급식 위생 문제를 발본색원해야 한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